안도 ()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에 속하는 섬.
지명/자연지명
면적
42.42㎢
높이
205.2m
소재지
전남 여수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에 속하는 섬이다. 섬의 북쪽 안도항은 입구가 좁고 내항은 넓은 천혜의 피항지로서 지명의 유래가 되었다. 전라남도 여수시 금호도 남쪽 300m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섬으로 2010년 안도대교의 개통으로 금호도와 연결되었다. 백금만의 안도해수욕장과 이야포 해안의 몽돌해수욕장이 유명하다.

정의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에 속하는 섬.
개설

여수 남쪽 34㎞ 해상에 위치하며 북쪽에 금오도(金鰲島), 남쪽에 연도(鳶島)가 있다. 동경 127°48′, 북위 34°29′에 위치한다. 최고봉은 섬의 중앙에 솟은 상산(上山, 207m)이다. 동도(東島)와 서도(西島) 두 개의 섬이 있었는데, 이들 섬 사이에는 너비 200m 가량의 좁은 수로가 뻗어 있었으나 수로의 남쪽 끝에 발달한 주1에 의하여 두 섬이 연결되었다.

명칭 유래

섬의 형태가 기러기 모양과 같다고 하여 ‘기러기 안(雁)’ 자를 써 안도(雁島)라고 하다가 1910년부터 ‘편안할 안(安)’ 자를 쓰게 되었따. 안도(安島)는 선박이 안전하게 피항(避港)할 수 있는 곳이라는 뜻을 가진다고 전한다.

자연환경

동도 중앙에 위치한 상산을 비롯하여 섬 전체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나, 동도와 서도의 연결 지점 부근이 비교적 경사가 완만하여 이곳에 취락이 모여 있다.

안도는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에 속해 있다.북쪽 해안에는 입구가 좁은 만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곳은 선박대피소로 사용되고 있다. 입구는 좁고 들어갈수록 넓어져 S자형의 만을 이루고 있다. 남쪽의 이야만(以也灣)과 북동쪽의 백금만(白金灣) 일대에는 사빈 주2이 발달해 있지만 대부분의 해안은 암석 해안이다. 동쪽 백금만의 안도해수욕장 사빈은 백사청송(白砂靑松)에 어울리는 경관을 자랑한다. 남쪽 이야포 해안에는 자갈로 이루어진 몽돌해수욕장이 자리잡고 있다.

1월 평균 기온 1℃, 8월 평균 기온 26℃, 연강수량 1,345㎜, 연강설량 3㎜이다.

현황

2007년 말 기준 전체 면적은 42.42㎢이고, 논 1.46㎢, 밭 9.15㎢, 임야 29.93㎢이다. 2008년 말 기준, 안도가 속한 남면의 전체 인구는 3,821명(남 1,926명, 여 1,895명)이고 세대수는 1,779호이다. 2023년 10월 기준, 남면의 전체 인구는 2,716명(남 1,404명, 여 1,312명)이고 세대수는 주3.

주요 농산물은 감자 · 보리이고 소량의 무 · 시금치 · 마늘 · 쌀 등이 생산된다. 주요 어획물은 우럭 · 돔 · 장어 · 삼치 · 잡어 · 갈치 등이며, 김 · 톳 · 홍합 · 전복 등의 양식업도 행해진다.

취락은 안도 · 서고지 · 이야포 · 상산마을에 분포하며, 중심지는 북서해안에 위치한 안도이다. 정기 여객선이 매일 운항되고 있다. 2010년 금오도 심장리와 안도리를 연결하는 길이 360m의 복합 엑스트라 도즈드교(extra-dosed bridge)가 개통되었다.

교육 기관으로 여안초등학교, 여남중학교 안도분교장이 있었으나 2020년 여남중학교로 통폐합되었다. 공공시설로는 안도보건진료소, 여수남면우체국 안도출장소, 서고지 출장소가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도서지(島嶼誌)』 (내무부, 1985)
『전남의 섬』 (전라남도, 2002)
『주민등록현황』 (여수시, 2008)
『한국도서백서(韓國島嶼白書)』 (전라남도, 1996)
『2021년 여수통계연보』 (여수시, 2021)

인터넷 자료

디지털여수문화대전(http://yeosu.grandculture.net/)
여수시청(http://yeosu.go.kr)
주석
주1

바닷가에 생기는 모래사장. 파도나 조류의 작용으로 강이나 해안의 수면 위에 둑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우리말샘

주2

모래가 많이 퇴적한 해안 지형. 파도의 작용에 의하여 바닷가에 형성되며, 이 뒤로는 해안 사구가 나타난다. 우리말샘

주3

여수시 통계연보의 인구통계는 읍, 면, 동 단위로 이루어져 있어, 안도리의 인구를 추산하기 어렵다. 남면에는 금오도가 포함되어 있어 인구수치의 상당부분은 금오도 인구로 추산된다(여수시청 인구통계, 2023년 10월 31일 기준).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