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원산 ()

자연지리
지명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과 북상면, 함양군 안의면에 걸쳐 있는 산.
지명/자연지명
높이
1,353m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금원산은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과 북상면, 함양군 안의면에 걸쳐 있는 산이다. 남으로 기백산(1,331m)과 남령을 거쳐 남덕유산(1,507m)과 이어진다. 단지봉(丹芝峰, 1,258m), 삼봉산(三峰山, 1,234m), 덕유산(德裕山, 1,594m) 등과 호남·영남 양지방의 경계를 이룬다. 옛날 이 산속에 금빛 원숭이가 날뛰어 한 도사가 바위 속에 가두었다는 전설에 따라 금원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정의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과 북상면, 함양군 안의면에 걸쳐 있는 산.
개설

금원산(金猿山)은 소백산맥의 서부에 속하는 산으로, 높이는 1,353m이다. 남으로 기백산(1,331m)과 남령을 거쳐 남덕유산(1,507m)과 이어진다. 단지봉(丹芝峰, 1,258m), 삼봉산(三峰山, 1,234m)', 덕유산(德裕山, 1,594m) 등과 호남 · 영남 양지방의 경계를 이룬다.

명칭 유래

금원산은 옛날 금원산 산속에 금빛 원숭이가 날뛰어 한 도사가 바위 속에 가두었다는 전설에 따라 금원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하며, 산중턱에 있는 그 바위를 금원암 또는 원암(猿巖)이라고 한다.

자연환경

금원산의 기반암은 금원산 정상부를 포함한 북서쪽은 주1의 반상변정질 주6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동쪽은 중생대 주2에 관입한 흑운모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반암의 특성으로 인해 반상변정질 편마암 분포지역은 토양층이 발달하고 식생이 들어서 있지만, 흑운모 화강암의 분포지역은 기반암의 풍화 주3이 쉽게 제거되어 기반암이 노출된 하상, 사면, 능선이 나타난다. 금원산 휴양림을 중심으로 북쪽으로 현성산(965m), 금원산(1,353m), 기백산(1,331m)으로 능선이 이어진다. 이 능선과 양쪽의 사면에는 화강암의 풍화와 침식에 의해 발달하는 암석돔, 토르(tor), 핵석(core stone)이 분포한다.

금원산에는 성인골 유안청계곡과 지재미골이 있는데, 이곳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상천리에서 합수하여 상천(上川)이 되어 위천면을 가로질러 흐르고 있다. 유안청계곡은 조선 중기 이 고장 선비들이 공부하던 유안청이 자리한 골짜기로 유안청폭포를 비롯한 자운폭포와 소담이 주변 숲과 어우러져 산악 경관이 빼어나다.

거창 지역의 기후 평년값(30년 평균: 1971년∼2000년)은 평균기온이 11.4℃, 최고기온 18.2℃, 최저기온 5.7℃, 강수량 1,265.8㎜를 나타내었다.

현황

금원산자연휴양림은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에 소재하고 있으며 도유림에 조성된 자연휴양림으로서, 1993년에 개장된 곳이다. 휴양림 면적은 130ha로 하루 수용인원은 최적 600명(최대 1300명)으로 2000년 1월부터 민간 위탁 경영에 들어간 자연휴양림이다. 휴양림 내 주5은 낙엽송 주4와 천연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간 이용객은 약 70,000명이다. 주요 시설로는 숙박동 25실, 삼림 욕장, 숲속 수련장 등이 있다. 주변의 관광지로는 휴양림 내에 있는 거창 가섭암지 마애여래삼존 입상(보물, 1971년 지정)과 수승대 국민 관광지, 농월정, 용추사 등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유정열, 『한국의 산 여행』 (관동산악연구회, 2007)
『경상남도지(慶尙南道誌)』 (경상남도지편찬위원회, 1959)
『거창군지(居昌郡誌)』 (거창군지편찬위원회, 1979)

논문

김대현, 「금원산자연휴양림 이용객의 이용동기와 이용만족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인터넷 자료

거창군금원산자연휴양림(http://www.greencamp.go.kr/)
기상청(http://www.kma.go.kr/)
주석
주1

캄브리아기 이전의 지질 시대. 약 46억 년 전부터 약 5억 7000만 년 전까지의 시대를 말하며, 시생대와 원생대로 나눈다. 우리말샘

주2

중생대를 3기로 나누었을 때 마지막 지질 시대. 약 1억 4,500만 년 전부터 6,500만 년 전까지의 시대를 말한다. 우리말샘

주3

풍화 작용을 받은 암석이 붕괴되거나 분해되어 생긴 광물. 우리말샘

주4

나무를 심거나 씨를 뿌리거나 하는 따위의 인위적인 방법으로 숲을 이룬 땅. 또는 기존의 숲을 손질하거나 다시 살리거나 하는 따위의 관리를 한 땅. 우리말샘

주5

숲의 생긴 모습. 우리말샘

주6

반드시 장석을 포함하고, 석영ㆍ운모ㆍ각섬석 따위로 이루어진 변성암. 수성암과 화성암의 두 종이 있는데, 운모가 조각 모양으로 섞이고 다른 광물도 줄무늬를 이룬 것이 화강암과 다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