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금도(飛禽島)는 주1 125°55′, 주2 34°45′에 위치하며, 목포시에서 서쪽으로 약 35㎞ 지점에 있다. 자은도(慈恩島)와 도초도(都草島) 사이에 위치하며, 도초도와는 1996년에 준공된 서남문대교로 연결되어 있다. 면적은 45.25㎢이고, 해안선 길이는 64.1㎞이다.
비금도는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아노현에, 통일신라시대에는 갈도현에 속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육창현에 편입되었으며, 조선 초기에는 영광군에 속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나주목 관할이 되었으며, 1895년에 지도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 주3 개편으로 무안군에 주4, 1969년에 신안군이 무안군에서 분리됨에 따라 신안군 비금면이 되었다. 행정 구역상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면 산하의 가산리, 고서리, 광대리, 구림리, 내원리, 덕산리, 도고리, 신원리, 용소리, 죽림리, 지당리로 구성되어 있다.
지명은 섬의 모양이 큰 새가 날아가는 것처럼 생겼다 해서 비금도라고 하였다.
지질은 대부분 주5 주6의 산성화산암과 주7으로 되어 있다. 과거 여러 개의 섬이 주8에 의한 퇴적으로 육지화되어 곳곳에 주9 산지의 형태를 이룬다. 최고봉은 섬의 남서쪽에 있는 그림산 투구봉(255m)이고, 동북쪽에 위치한 성치산(城峙山, 164m)이 급경사를 이루면서 해안과 접한다. 중앙에는 평지가 분포하며, 간척 주10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농경지와 염전이 넓게 발달해 있다. 동북쪽 해안은 주11가 발달하였고, 해안선의 주12이 심한 서쪽 해안에는 사빈 주13이, 동남쪽 해안에는 염전 지대가 있다. 주14은 북가시나무 · 녹나무 · 후박나무 · 동백나무 · 구실잣밤나무 · 사철나무 등의 주15 식물이 자란다. 1월 평균 기온은 2.0℃, 8월 평균 기온은 25.5℃, 연 강수량은 1,357㎜이다.
삼한시대주17에 떠돌아다니던 유족이 당두마을에 최초로 들어와 정착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와서는 유배되어 온 주18들이 가족을 이끌고 와 정착하면서 많은 씨족이 분포하게 되었다.
2022년 7월 기준으로 인구는 3,484명(남 1,852명, 여 1,632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주16.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과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토지 이용 현황은 논 8.86㎢, 밭 5.07㎢, 임야 20.20㎢이다. 주요 농산물로는 쌀 · 보리 · 콩 · 고구마 · 마늘 · 양파 · 시금치 등이 생산된다. 인근 바다에서는 멸치 · 조기 · 가자미 · 장어 · 갈치 · 문어 · 낙지 · 해삼 · 새우 등 다양한 수산물이 잡히고, 김과 미역의 양식업도 활발하다.
비금도는 호남지방에서 해방 이후 처음으로 주19이 시작된 섬이다. 북서 해안에는 규사(硅沙)가 풍부하다. 고려시대에 축조된 주20으로 성치산성지(城峙山城地)와 고분이 있고 서산사(西山寺)가 있다. 구림리해수욕장은 약 4㎞의 해안으로 해당화와 주변의 수목이 장관을 이룬다.
교통로는 동쪽의 비금가산 여객 터미널에서 남쪽의 수대항 부근까지 국도 2호선이 개설되어 있다. 비금가산 여객 터미널에서 추포도로 이어지는 구간은 개설되지 않았으며, 남쪽은 서남문대교를 통해 도초도로 이어진다. 교통은 목포시에서 여객선 · 쾌속선 및 도선이 비금가산 여객 터미널로 운항된다.
교육 기관으로는 비금초등학교와 비금동초등학교가 있다. 비금중학교는 1999년 9월 1일 비금고등학교와 통합되었으나, 2014년 3월 1일 비금고등학교가 도초고등학교로 통폐합되면서 폐교하였다. 이후 2017년에 비금중학교와 도초중학교가 통합되어 비금중학교로 운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