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연산 ()

목차
관련 정보
자연지리
지명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 죽장면에 걸쳐 있는 산.
이칭
이칭
종남산(終南山)
지명/자연지명
높이
929m
소재지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 죽장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내연산(內延山)은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 죽장면에 걸쳐 있는 산이다. 입자가 굵은 기반암의 특성으로 풍화를 받아 형성되는 나마, 그루브, 타포니가 곳곳에 나타난다. 광천의 침식 작용으로 형성된 협곡에는 12폭포가 있어 명소를 이룬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 죽장면에 걸쳐 있는 산.
자연 환경

내연산은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 죽장면에 걸쳐 있는 산이다. 높이 711.3m의 태백산맥의 줄기인 중앙 산맥에 있는 산으로, 북쪽에는 동대산(東大山, 792m) · 바데산(645m)이 있고, 서쪽 4㎞ 지점에는 6·25주1향로봉(香爐峯, 929m)이 있다. 동쪽과 남쪽의 사면은 급경사를 이루고 있으나 북서쪽은 완사면을 이루고 있다.

지질주2 주3의 화성 주4으로 형성된 신라층군의 보경사반암이다. 반암류는 주5, 주6등의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는 조립의 암석이다. 이질결정체의 성장 등의 이유로 광물 내의 결합력이 약해지면 떨어져 나오는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기반암의 특성으로 내연산의 등산로나 기반암이 노출된 곳, 폭포의 기저부에서는 암석이 풍화되어 주7가 만들어진 풍화혈(weathering 주8이 발달해 있으며, 기반암의 윗면에 형성되는 나마, 그루브, 측면에 형성되는 타포니가 곳곳에 나타난다.

내연산에서 주9 흐르는 주10의 상류에는 주11이 형성되어 주12과 폭포가 많아 주13가 수려하다. 병풍암(屛風巖) · 문수암(文殊巖) · 삼구석(三龜石) · 삼동석 · 견성대(見性臺) · 향문대(鄕文臺) · 사득대(捨得臺) · 승암(僧巖) · 선일암(仙逸巖) · 비하대(飛下臺) · 어룡대(魚龍臺) · 연산암(延山巖) · 기화대(妓花臺) · 학소대(鶴巢臺) 등의 기암과, 용추폭포(龍湫瀑布) · 상생폭(相生瀑) · 삼보폭(三步瀑) · 보현폭(普賢瀑) · 무봉폭(舞鳳瀑) · 관음폭(觀音瀑) 등 12폭포가 있어 소금강(小金剛)이라 불려지고 있다.

남쪽으로 2.5㎞ 떨어진 곳에는 유명한 보경사(寶鏡寺)가 있고 문수암(文殊庵) · 서운암(瑞雲庵) 등의 암자도 있다. 보경사는 신라 진평왕 때 일조대사(日照大師)가 인도에서 가져온 팔면경(八面鏡)을 묻고 세웠다는 절로, 경내에는 고려 때 이송로(李松老)가 지은 원진국사비(보물, 1963년 지정)와 포항 보경사 승탑(보물, 1965년 지정) · 숙종어필 등이 있다. 내연산 일대는 주14 보경사와 자연미가 조화되어 관광지 및 캠프 지역으로 가치가 높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이 산에 대 · 중 · 소 3개의 바위가 솥발처럼 벌어져 있는데, 사람들이 삼동석(三動石)이라고 한다. 손가락으로 건드리면 조금 움직이지만 양손으로 흔들면 움직이지 않는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한국지명요람』 (건설부 국립지리원, 1982)
『제5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형)-도천』 (국립생태원, 2016)
홍경희·조화룡, 『경상북도의 자연적 기초』 (경상북도사, 1983)

인터넷 자료

국토지질정보(https://data.kigam.re.kr/mgeo/map/main.do?process=geology_50k)
주석
주1

격렬한 싸움이 벌어진 곳. 우리말샘

주2

지질 시대의 구분에서 고생대와 신생대 사이의 시기. 지금부터 약 2억 4500만 년 전부터 약 6,500만 년 전까지이다. 겉씨식물이 번성하였고, 공룡과 같은 거대한 파충류를 비롯하여 양서류ㆍ암모나이트 따위가 번성하였다.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백악기로 다시 나뉜다. 우리말샘

주3

중생대를 3기로 나누었을 때 마지막 지질 시대. 약 1억 4,500만 년 전부터 6,500만 년 전까지의 시대를 말한다. 우리말샘

주4

마그마에 의하여 일어나는 모든 작용. 화산 분화, 화산암의 생성, 심성암의 관입(貫入)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5

이산화 규소로 이루어진 규산염 광물. 삼방 정계에 속하는 알파형과 육방 정계에 속하는 베타형이 있는데 대개 화강암, 유문암, 변성암, 퇴적암 따위에 들어 있다. 유리 광택이 있으며, 무색의 순수한 것은 수정이라고 한다. 광학 기계, 유리, 도기 따위를 만드는 데 쓴다. 우리말샘

주6

규산, 알루미늄, 나트륨, 칼슘, 칼륨, 알칼리 따위로 이루어진 규산염 광물. 화성암의 주성분으로 흰색, 갈색, 회색 따위의 색을 띠며 유리 광택이 난다. 도자기의 원료나 비료, 화약, 유리, 성냥 따위를 만드는 데 쓴다. 우리말샘

주7

움푹 패어 웅덩이가 된 땅. 우리말샘

주8

풍화 작용으로 인하여 바위 표면에 움푹 팬 구멍. 우리말샘

주9

흐르는 물줄기가 처음 생기다. 우리말샘

주10

비교적 많은 양의 광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샘. 독특한 맛을 내거나 치료의 효과가 있다. 우리말샘

주11

험하고 좁은 골짜기. 우리말샘

주12

모양이 독특하고 이상한 바위와 돌. 우리말샘

주13

개울이 흐르는 골짜기들이 지니는 아름다운 풍경. 우리말샘

주14

규모가 크거나 이름난 절.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