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연산 보경사 (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유적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지명이 창건했다고 전하는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내연산(內延山)에 있는 사찰.
유적/건물
소재지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 보경로 523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보경사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지명이 창건했다고 전하는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내연산(內延山)에 있는 사찰이다. 고려 때 원진국사가 주석했으며, 조선시대 중창된 이후 사세를 이어가 동종과 불화 등 다양한 불교 국가유산이 전한다.

목차
정의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지명이 창건했다고 전하는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내연산(內延山)에 있는 사찰.
변천

1214년(고종 1) 주지 승형(承逈:圓眞國師)이 승방 4동과 정문 등을 주2 종 · 경(磬) · 법고(法鼓) 등도 완비했다. 1677년(숙종 3)에는 도인(道仁) 등이 주3 불사를 시작하여 1695년 가을에 준공했으며, 삼존불상과 영산전(靈山殿)후불탱화도 조성했다. 이때 초한(草閑)이 시주를 얻어 금당을 중건했고 관음전도의(道儀)가, 명부전석일(釋一)이, 응향전(凝香殿)은 국헌(國軒)이, 향적전(香積殿)과 국사전(國師殿)은 학열(學悅)이, 열반당은 신특(信特)이, 국사전 정문과 사천왕각 및 식당은 비구니 총지(摠持)와 신원(信遠)이, 팔상전은 지총(志聰)이, 종각은 영원(靈遠)이 각기 분담하여 중건, 중수했다.

그와 동시에 도인은 청련암(靑蓮庵)을 창건하고 탁근(卓根)은 서운암(瑞雲庵)을 창건했다. 1725년(영조 1) 성희(性熙)와 관신(寬信)이 명부전을 주4 단청했으며, 성희는 주5을 중수하였는데, 이때의 사세가 가장 컸다고 전한다. 1916년부터 1922년까지는 장욱(壯旭)이 많은 사재를 내어 주6과 탑을 중수하였고 홍수로 파손된 제방을 쌓았으며, 교량을 시설하고 전답을 사찰에 헌납했다. 1917년 10월에는 태인(泰仁)이 명부전을 중수했고, 1932년에는 대웅전과 상지전(上持殿)을 중수했으며, 1975년 이후 약간의 단청 불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황

현존하는 주7로는 비로자나불문수보살 · 보현보살을 모신 적광전, 석가모니불을 모신 대웅전,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사자를 탄 주8와 코끼리를 탄 보현보살, 16나한 등을 배열한 영산전, 석가모니의 팔상시현(八相示顯)을 나타낸 팔상전이 중심 당우로 자리잡고 있다. 이 밖에도 명부전 · 산신각 · 원진각(圓眞閣) · 일로향각(一爐香閣) · 동로각(東爐閣) · 누각 · 수월당(水月堂) · 천왕문 · 일주문 · 원진국사비각 · 설산당비각(雪山堂碑閣) · 창고 등이 있다. 현존하는 산내 암자로는 동쪽 50m 지점의 청련암과 서쪽 100여 미터 지점의 서운암, 보경사 창건과 동시에 건립되었다는 문수암(文殊庵)과 보현암(普賢庵) 등이 있다. 그 밖에도 이 절의 주변에는 상태사(常泰寺) · 성도암(成道庵) · 계조암(繼祖庵) · 내원암(內院庵) · 대비암(大悲庵) 등의 유지가 있다.

보경사 소재 중요 국가유산은 건축물부터 탱화까지 여러 점이 남아 있다. 1963년 보물로 지정된 보경사 원진국사비와 1965년 보물로 지정된 원진국사의 승탑이 있다. 원진국사(1171∼1221)는 고려시대의 승려인데 왕명으로 보경사 주지가 됐으며, 입적 후 고종은 그를 국사(國師)로 예우하고, 시호를 원진이라고 했다. 적광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평면에 다포 맞배지붕이며, 비로자나불을 주불로 모신 전각으로 2015년 보물로 지정됐다. 보경사 산내 암자인 서운암의 동종은 18세기 사인비구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2000년에 보물로 지정됐다. 1708년 조성되고 1725년 중수된 괘불탱은 2009년 보물로 지정됐다. 1742년(영조 18) 뇌현(雷現), 밀기(密機), 석잠(碩岑) 등 조선 후기 경북 지역에서 활동한 세 명의 불화승이 제작한 비로자나도는 2018년 보물로 지정됐다.

그 밖에 1985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된 오층석탑, 1974년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된 탱자나무가 있다. 조선시대 숙종이 이곳의 12폭포를 유람하고 그 풍경의 아름다움에 시를 지어 남겼다는 어필의 각판이 있다. 승탑으로는 동봉(東峯) · 청심당(淸心堂) · 심진당(心眞堂) 등 11기가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권상로 편, 『한국사찰전서』 (동국대학교 출판부, 1979)
이종익, 『보경사의 사적과 사화』 (감로당, 1980)

기타자료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주석
주1

불교의 한 종파의 우두머리인 큰절의 관리를 받는 작은 절. 또는 큰절에서 갈라져 나온 절. 우리말샘

주2

건축물 따위의 낡고 헌 것을 손질하며 고치다. 우리말샘

주3

낡은 건물을 헐거나 고쳐서 다시 지음. 우리말샘

주4

건축물 따위를 옮겨 짓거나 세우다. 우리말샘

주5

그림으로 그려서 걸어 놓은 부처의 모습. 우리말샘

주6

높고 크게 지은 화려한 집. 우리말샘

주7

정당(正堂)과 옥우(屋宇)라는 뜻으로, 규모가 큰 집과 작은 집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8

석가모니여래의 왼쪽에 있는 보살. 사보살의 하나이다. 제불(諸佛)의 지혜를 맡은 보살로, 오른쪽에 있는 보현보살과 함께 삼존불(三尊佛)을 이룬다. 그 모양이 가지각색이나 보통 사자를 타고 오른손에 지검(智劍), 왼손에 연꽃을 들고 있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