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랑 ()

불교
인물
나당전쟁기, 밀교의 문두루비밀법(文豆婁秘密法)으로 당나라 군사를 격퇴했던 신인종(神印宗)의 종조.
이칭
국육(國育)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신라
관련 사건
나당전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명랑(明朗)은 신라 왕족으로 나당전쟁기에 밀교 경전인 『관정경(灌頂經)』과 『금광명경(金光明經)』에 따른 문두루비밀법(文豆婁秘密法)을 설행하여 당나라 군사를 격퇴했던 밀교의 승려로, 신인종(神印宗)의 종조이다. 명랑의 뒤를 이은 신인종의 고승으로 안혜(安惠) · 낭융(朗融) · 광학(廣學) · 대연(大綠) 등 사대덕(四大德)이 있다.

정의
나당전쟁기, 밀교의 문두루비밀법(文豆婁秘密法)으로 당나라 군사를 격퇴했던 신인종(神印宗)의 종조.
가계 및 인적사항

명랑(明朗)의 자는 국육(國育)으로 사간(沙干) 재량(才良)의 셋째 아들이다. 어머니는 남간부인(南澗夫人)인데 법승랑(法乘娘)이라고도 하며, 소판(蘇判) 무림(茂林)의 딸 김씨이자 자장(慈藏)의 누이동생이다. 명랑의 두 형은 국교대덕(國敎大德), 의안대덕(義安大德)이다.

주요 활동

명랑은 632년(선덕왕 1)에 당나라로 건너가서 밀교(密敎)의 비법을 배우고 3년 만에 귀국하였다. 『삼국유사(三國遺事)』 신주(神呪)편에 따르면, 명랑은 귀국하는 길에 해룡(海龍)의 청으로 용궁에 들어가 비법을 전하고 용왕으로부터 황금 1,000냥을 시주받아 귀국하였다고 한다. 신라에 돌아온 그는 자신의 집을 헐고 절을 창건하였다. 용왕이 시주한 황금으로 절의 탑상(塔像)을 장식하였더니 그 광채가 매우 찬란하였으므로 그 절을 금광사(金光寺)라 하였다고 한다.

삼국이 통일된 후 당나라와 신라 사이에는 새로운 전운이 일고 있었다. 신라는 고구려의 옛 땅에 남아 있던 당나라 군사들을 정벌했는데, 당나라의 설방(薛邦)은 이를 보복하기 위해 50만 대군을 이끌고 신라를 침공할 계획을 세웠다. 의상(義湘)으로부터 이 소식을 전해 들은 신라 조정에서는 명랑에게 비책(秘策)을 물었다. 이에 명랑은 “낭산(狼山) 남쪽 신유림(神遊林)에 사천왕사를 창건하고 도량(道場)을 개설하라”라고 하였다. 그러나 당나라 군사가 이미 국경에 다다랐다는 소식을 듣게 되자, 명랑은 풀로 오방신장(五方神將)을 만들고 자신이 우두머리가 되어 유가명승(瑜伽名僧) 12인과 함께 문두루비밀법(文豆婁秘密法)을 썼다. 그러자 당나라 전함은 신라와 교전하기도 전에 사나운 풍랑으로 침몰되었다. 그 뒤에도 당군이 침략을 시도하면 명랑은 같은 방법으로 그들을 격퇴시켰다. 명랑이 썼다는 문두루비법은 『관정경(灌頂經)』과 『금광명경(金光明經)』의 가르침에 따른 밀교의 의례였다. 671년에 당나라 군사가 다시 신라를 공격했을 때 명랑은 다시 문두루비밀법을 써서 그들을 물리쳤다. 그 후 명랑은 절을 고쳐 짓고 사천왕사라 이름 붙였다.

명랑의 뒤를 이은 고승으로는 안혜(安惠) · 낭융(朗融) · 광학(廣學) · 대연(大綠) 등 4명의 대덕[四大德]이 있다. 광학과 대연은 고려 태조를 따라 개경으로 가서 향을 피우며 수도하였고, 태조의 청으로 문두루비밀법을 써서 해적을 소탕하였다. 경주의 원원사(遠願寺)는 이 4명의 대덕과 관련이 있다. 이후 명랑은 신인종의 종조(宗祖)로 인식되었다. 고려시대에는 개성 현성사(現聖寺), 천마산 총지암(總持庵), 모악산 주석원(呪錫院) 등이 신인종의 종찰(宗刹)이었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유사(三國遺事)』

논문

김복순, 「『삼국유사』 '명랑신인'조의 구성과 신인종 성립의 문제」(『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32, 2011)
김상현, 「신라 사천왕사의 창건과 의의」(『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17, 1996)
김연민, 「新羅 文武王代 明朗의 密教思想과 의미」(『한국학논총』 30, 2008)
문명대, 「新羅 神印宗의 硏究」(『진단학보』 41, 1976)
박태화, 「신라 밀교 전래고」(『불교사학논총-조명기박사화갑기념-』,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1965)
옥나영, 「『관정경』과 7세기 신라 밀교」(『역사와현실』 63, 2007)
윤선태, 「신라 중대 성전사원과 밀교」(『선사와 고대』 44, 2015)
장익, 「명랑의 문두루법과 진호국가밀교」(『밀교학보』 16, 2015)
宗釋, 「密敎의 受容과 그것의 韓國的 展開 1」(『論文集』 2, 중앙승가대학, 199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