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명사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유적
삼국시대, 평양시 금수산(錦繡山)에 있었던 고구려 동명성왕의 유지로 광개토왕 때 창건한 사찰.
유적
건립 시기
삼국시대
관련 국가
고구려
관련 인물
동명성왕, 광개토왕, 아도 화상
소재지
북한 평양시 금수산
내용 요약

영명사(永明寺)는 평양시 금수산(錦繡山)에 있는 고구려의 제1대 동명성왕의 유지로 광개토왕 때 창건한 사찰이라는 전승이 있다. 풍광이 아름다운 곳에 절이 있어 고려시대 왕들이 행차하여 풍경을 즐겼던 곳 중 하나이다. 일제시대 때는 31본산 중 하나였으나 한국전쟁 때 사찰이 소실되었다.

목차
정의
삼국시대, 평양시 금수산(錦繡山)에 있었던 고구려 동명성왕의 유지로 광개토왕 때 창건한 사찰.
창건 배경

영명사(永明寺)는 평양시 금수산에 있던 사찰이다. 절은 부벽루(浮碧樓)의 서편 기린굴(麒麟窟)의 위쪽에 위치해 있었다. 이 절이 창건된 연대는 분명하지 않으나 고구려 광개토왕 때 지어진 것으로 기록된 9개의 절 중 하나라는 전승이 있다. 동명성왕의 구제궁(九梯宮) 유지에 392년(광개토왕 2)에 절을 창건하고 아도 주1을 머물게 하였다고 한다.

변천

고려시대에는 선종 · 숙종 · 예종 · 인종 · 의종 등이 대동강용선을 띄우고 노닐다가 영명사에서 휴식을 취하며 헌향하고는 하였다. 특히 예종은 1109년(예종 4) 4월에 문두루도량(文豆婁道場)을 개설하였고, 5월에는 절의 중창을 명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에 와서 영명사는 선교양종(禪敎兩宗) 36본사의 하나가 되었다. 1663년(현종 4)에는 총섭(摠攝) 자평(自平)이 주2를 모두 주8하였고, 1703년(숙종 29)에는 구관(句管)이 득월루(得月樓)를 보수하였다. 이후 청일전쟁으로 몇 칸의 당우만을 남긴 채 모두 불타버린 것을 1894년(고종 31)에 다시 지었다.

1911년 영명사는 서도(西道)의 본산이 되었고, 1920년에는 31본산 중의 하나가 되었다. 영명사와 이 절에 소속된 말사들은 『화엄경』을 근본 경전으로 하고 칠조(七祖)가 전수한 주5를 이어가는 것을 규범으로 삼았다. 이때 용반(龍般)이 주지로 취임하여 수년 동안 사찰을 주6하였으며, 1922년에는 대웅전을 중건하고 당우 및 주7를 새로 짓기도 하였다.

31본산이던 시절 영명사는 16개의 말사를 총괄하였다. 대동군광법사(廣法寺) · 법운암(法雲庵) · 영천사(靈泉寺) · 두타사(頭陀寺) · 중화군의 옥천사(玉泉寺) · 심곡사(深谷寺) · 수락암(水落庵) · 은구사(殷口寺) · 용산사(龍山寺) · 길상사(吉祥寺) · 고봉사(高峯寺), 용강군의 보림사(寶林寺) · 용천사(湧泉寺) · 신덕사(神德寺) · 회용사(洄湧寺) · 일운암(日雲庵)이 당시 영명사의 말사였다.

현황

영명사는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사찰의 기능을 상실하였다. 이 절에는 팔각석조불감과 팔각오층탑이 있었는데, 한국전쟁 때 영명사가 소실되면서 석조불감은 용화사로 옮겨졌다. 지금은 부벽루와 팔각오층석탑, 만경대 구역에 부속 암자인 법운암만 남아 있다. 영명사 자리에는 요양원이 들어서 부벽루까지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한국사찰전서(韓國寺刹全書)』(권상로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이능화, 신문관, 1918)

단행본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편,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 유적』(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주석
주1

고구려의 승려(?~?). 신라 십성의 한 사람으로 아두(阿頭)라고도 한다. 신라 미추왕 2년(263)에 신라에 가서 불교를 전하였다. 우리말샘

주2

정당(正堂)과 옥우(屋宇)라는 뜻으로, 규모가 큰 집과 작은 집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

한 종파(宗派)의 교의(敎義). 우리말샘

주6

아주 새로워짐. 또는 아주 새롭게 함. 우리말샘

주7

절에 있는 승려들이 거처하는 집. 우리말샘

주8

건축물 따위의 낡고 헌 것을 손질하며 고침. 우리말샘

집필자
옥나영(숙명여자대학교 강사, 한국고대사(불교사상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