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수산 문수사 ( )

목차
관련 정보
고창 문수사
고창 문수사
불교
유적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수면 문수산(文殊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자장이 창건한 사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수면 문수산(文殊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자장이 창건한 사찰.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禪雲寺)의 말사이다. 문수산은 청량산(淸凉山) 또는 축령산(鷲嶺山)이라고도 부른다. 644년(의자왕 4) 자장(慈藏)이 창건하였다.

사찰 연기 설화에 의하면, 자장이 당나라에서 귀국하는 길에 이곳을 지나게 되었다. 이 산이 당나라에서 수행하였던 청량산과 같은 느낌을 주므로, 이곳의 석굴에서 7일 동안 정성껏 기도를 드렸다.

어느 날 땅 속에서 문수보살(文殊菩薩)이 나오는 꿈을 꾸자 그곳을 파보니 문수석상이 나왔다. 이에 그곳에 문수전을 건립하고 절 이름을 문수사라 하였다고 한다. 그 뒤 1607년(선조 40)에 중건하였으며, 1653년(효종 4) 성오(悟性)와 상유(尙裕)가 대웅전을 중건하고 삼존불상을 봉안하였다.

1764년(영조 40)에는 신화(信和)와 쾌영(快英)이 선운사에서 이곳으로 와 대웅전을 중수하고 양진암(養眞庵)을 창건하였다. 1835년(헌종 1)에는 우홍(牛弘)이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문수전 · 한산전 · 금륜전 · 만세루 · 요사 · 산문(山門) 등이 있다. 1974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된 문수사대웅전은 건립연대가 미상이지만 1823년(순조 23)의 1차 중수 이후 1876년 고창현감 김성로(金星老)의 시주로 묵암(默庵)이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이고 건평은 66㎡이다. 1974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문수사 문수전에는 이 절의 연기 설화와 관련된 문수석상이 안치되어 있다.

이 석상은 상체가 큰 불상으로 좌대와 하반신 일부가 땅속에 묻혀 있는 것이 특색이며, 높이 2.25m이다. 부속암자로는 1618년(광해군 10) 인해(仁海)가 창건하고 1690년(숙종 16) 종희(宗僖)가 중건한 내원암(內院庵) · 양진암(養眞庵)이 있다.

참고문헌

『전통사찰총서』 9(사찰문화연구원, 1997)
『명산고찰 따라』(이고운·박설산, 신문출판사, 1987)
『한국사찰전서』(권상로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문화유적총람』(문화재관리국, 1977)
집필자
김위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