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석원 ()

목차
고대사
유적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모악산(母岳山) 일대에 있었던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인 명랑의 신인종을 대표하는 사찰.
이칭
이칭
모악산 주석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모악산(母岳山) 일대에 있었던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인 명랑의 신인종을 대표하는 사찰.
개설

명랑(明朗)은 신라 문무왕대의 승려로 신인종(神印宗)의 조사(祖師)이다. 632년 당나라로 들어갔다가 3년 뒤에 귀국하였다. 경주의 원원사(遠願寺), 개성 현성사(現聖寺), 천마산 총지암(總持庵)과 모악산의 주석원(呪錫院)은 신인종의 대표적인 사찰이었다. 명랑의 신인종을 계승한 고승으로는 안혜(安惠)와 낭융(朗融) 및 광학(廣學)과 대연(大綠) 등의 4대덕(四大德)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모악산의 주석원은 명랑의 신인종을 대표하는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내용

『삼국유사』권제5 신주6 혜통항룡(惠通降龍)조에 의하면, “고승(高僧) 명랑이 용궁(龍宮)에 들어가 범문(梵文)에 문두루(文豆蔞)라고 하는 신인(神印)을 얻어 신유림(神遊林)을 처음으로 세우고 여러 차례 이웃나라의 침입을 물리쳤다. 또한 화상은 무외삼장(無畏三藏)의 골자(骨子)를 전하고 속세를 두루 다니면서 사람을 구제하고 만물을 감화(感化)시켰다. 겸하여 숙명(宿明)의 밝은 지혜로 절을 세워 원망을 풀어주었고, 밀교(密敎)의 교풍이 이에 크게 떨쳤다. 천마산(天磨山) 총지암(總持嵒)과 모악(母岳)의 주석원(呪錫院) 등은 모두 그 지류(支流)이다”라고 되어 있다. 주석원이 있었던 곳이 어디인가를 두고서는 모악산 북쪽 산기슭에 있는 달성사라는 주장과 동쪽 산중턱에 있는 대원사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참고문헌

「삼국유사 신주편 연구」(박인희, 『석당논총』 52, 2012)
「삼국유사 혜통항룡조의 검토」(노중국, 『신라문화제 학술논문집』 32, 2011)
「삼국유사 혜통항룡조의 전거자료와 기년문제」(김연민, 『한국사학사학보』 25, 2011)
「삼국유사 명랑신인조의 구성과 신인종 성립의 문제」(김복순,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32, 2011)
「신라 중대 왕권과 밀교」(이세호, 『동국사학』 49, 2010)
「삼국유사 신주제육 혜통항룡조와 신라밀교」(하정룡, 『회당학보』 7, 2002)
「신라 중대 신인종의 성립과 그 미술」(조원영, 『부산사학』40·41, 2001)
「천왕사(四天王寺)의 창건과 의의」(김상현, 『신라의 사상과 문화』, 일지사, 1999)
「신라 신인종(神印宗)의 연구-신라 밀교와 통일신라 사회-」(문명대, 『진단학보』 41, 197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