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립지찬 성주사비 ( )

고대사
유물
김립지(金立之)가 성주사(聖住寺)의 사적과 관련해 찬술한 남북국시대 탑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김립지(金立之)가 성주사(聖住寺)의 사적과 관련해 찬술한 남북국시대 탑비.
개설

비문을 지은 김립지는 825년(헌덕왕 17)에 왕자 김흔을 따라 당나라에 유학하였고, 귀국 후에 추성군[전라남도 담양군] 태수, 한림랑을 역임하였으며. 창림사무구정탑지를 지었다. 김립지가 찬한 성주사비는 여러 비편으로 남아 있다. 서체는 왕희지체를 집자하였다. 이러한 형식은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성주사터에는 최치원이 지은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만이 남아 있고, 김립지가 지은 성주사비는 전하지 않는다. 현재까지 성주사터와 그 근처에서 10개의 비편이 발견되었다. 대체로 조선 중기까지 비가 온전하게 전해졌던 것으로 알려진다. 또한 최치원이 지은 비에 김립지찬의 비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어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건립 이전에 세웠음을 알 수 있다.

내용

비편에 문성왕대에 활약한 김양이란 인물이 보인다. 비문의 내용은 낭혜화상의 활동과 그가 성주사에 머물게 된 배경, 성주사의 운영 성과 등을 기록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비편에는 최치원이 지은 비에 전하지 않는 내용이 일부 보이고 있으며, 이 기록을 통해 성주사가 본래는 백제 법왕이 창건한 오합사였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또한 태종무열왕의 둘째 아들로 신라의 삼국통일과정에서 활약했던 대각간 김인문의 명이 새겨져 있다. 이로 볼 때, 성주사는 태종무열왕계인 김인문과 깊은 인연이 있다는 사실도 알려주고 있다. 또한 성주사 일대가 김인문계의 수봉지역이었다는 사실은 숭암산성주사사적의 글에도 남아 있다.

의의와 평가

신라 말 고려 초기에 형성된 선종 9산문의 형성과 변화 과정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성주사』(보령시·충남대학교박물관, 1998)
「보령 성주사지의 가람변천 연구」(임종태, 『선사와 고대』42, 2014)
「성주사 창건 이전 선대가람에 대한 검토」(임종태, 『한국고대사연구』72, 2013)
「김인문 소전」(권덕영, 『문화사학』21, 2004)
「성주사문 관련 사료의 검토」(양승율, 『고대연구』7, 1999)
「김립지의 성주사비」(양승율, 『고대연구』6, 1998)
「낭혜무염과 성주사 창건」(조범환, 『한국고대사연구』14, 1998)
「성주사지의 사략에 관하여」(권태원, 『역사와담론』19·20합집, 1992)
「성주사삼천불전지제일차발굴: 성주사지 제이차 조사」(문명대, 『미술자료』2, 1974)
「숭암산성주사사적」(황수영, 『고고미술』9-9, 1968)
「신라성주사 대랑혜화상 백월보광탑의 조사」(황수영, 『미술사학연구』9, 1968)
「보령 성주사지의 일명탑비」(이은창, 『미술사학연구』2, 196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