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보경사 비로자나불도 ( )

회화
작품
국가유산
1742년 제작되어 보경사 적광전에 봉안된 불화.
작품/서화
창작 연도
1742년(영조 18)
작가
뇌현(雷現), 밀기(密機), 석잠(碩岑)
소장처
보경사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포항 보경사 비로자나불도(浦項 寶鏡寺 毘盧遮那佛圖)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18년 08월 21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보경로 523 (송라면, 보경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포항 보경사 비로자나불도」는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보경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이다. 1742년 제작되어 보경사 적광전에 봉안된 비로자나불도이다. 18세기 비로자나불, 석가여래, 노사나불로 구성된 삼세불화가 유행하던 시기에 한 폭의 비로자나불회도로 조성된 가장 오래된 작품이다. 삼베 바탕에 붉은칠을 한 후 권속의 피부는 육색으로 칠한 후 다른 부위는 백색 선묘로 제작되어 재질과 방법에 있어서도 귀중한 제작 사례이다.

정의
1742년 제작되어 보경사 적광전에 봉안된 불화.
내용

1742년(영조 18) 제작되어 보경사 적광전에 봉안된 비로자나불도이다. 법신(法身)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을 독존(獨尊), 삼존(三尊), 군도 형식으로 그린 불화이다.

형태 및 특징

삼베 바탕에 전체 크기 세로 291㎝, 가로 291.9㎝ 화면에 선묘로 조성된 불화이다. 붉은색으로 전체 바탕을 칠한 후 불보살의 피부만 육색을 칠하고 분선(흰색) 선묘로 그려서 색이 뚜렷하게 대조을 이룬다.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문수보살, 보현보살을 비롯한 보살 6위, 사천왕 4위와 권속이 둥글게 에워싼 구도이다.

비로자나불은 한 장의 연판형식 광배를 갖추고, 통견의를 입고 지권인을 결하고 사각대좌의 연화좌 위에 앉아 있다. 본존 양 옆으로 오른쪽에 여의를 든 문수보살과 왼쪽에 연꽃가지를 든 보현보살이 정면관으로 서 있고, 그 위로 정병을 든 관음보살과 경권을 든 세지보살과 합장한 보살 2위가 측면관으로 배치되었다.

화면 아래로 사천왕이 각각 비파, 검, 용과 여의주, 탑과 보차를 들고 양쪽에 2위씩 자리하였다. 화면 위 선과가 담긴 반을 든 동자와 동녀, 아난 · 가섭, 사자와 코끼리를 머리에 쓴 팔부중 2위(건달바, 야차)가 있다. 얼굴 상호는 원만하고 부드러운 표정으로 육색 바탕에 그려져 있다. 화면 중앙에 백색선으로 삼전패(三殿牌)를 그리고 황색으로 주상전하, 왕비전하, 세자전하의 안녕과 장수를 기원한 것도 매우 특이하다. 제작 화승으로는 뇌현(雷現), 밀기(密機), 석잠(碩岑)이 참여하였다. 수화승 뇌현(雷現)의 유일한 대표작이다.

의의 및 평가

조선 후기에 제작된 비로자나불도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작례로 삼베 바탕에 붉은 칠을 하고 분선으로 그린 선묘 불화이다. 섬세한 필선과 문양이 매우 화려한 작품으로 바탕 재질, 채색 기법, 조성 연대 등이 귀중한 작품으로 조선 후기 비로자나불 도상 연구에 중요하다. 2018년 8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논문

정유라, 「조선후기비로자나불도의 연구」(동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김선희, 「조선시대 17-18세기 삼신삼세불괘불도 연구」(『한국불교학』 71, 한국불교학회, 201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