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 보문사 삼장보살도 ( )

회화
작품
문화재
1767년 보문사에서 제작되어 극락보전에 봉안된 불화.
작품/서화
창작 연도
1767년(영조 43)
작가
미상
소장처
보문사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2017년 12월 26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예천군 보문사길 243 (보문면, 보문사)
내용 요약

「예천 보문사 삼장보살도」는 1767년 보문사에서 제작되어 극락보전에 봉안된 불화이다. 명부계의 교주인 지장보살, 하늘세계의 교주인 천장보살, 지하세계의 교주인 지지보살 삼존을 화면 상단에 두고, 소나무와 성곽을 경계로 화면을 분할하여 지옥에서 형벌을 받는 장면과 시왕에게 재판을 받는 모습을 그렸다. 삼장보살이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배치되고, 지옥과 시왕을 결합한 유일한 삼장보살도이다.

정의
1767년 보문사에서 제작되어 극락보전에 봉안된 불화.
내용

천장보살(天藏菩薩), 지지보살(持地菩薩), 지장보살(地藏菩薩)과 그 권속을 그린 삼장보살도(三藏菩薩圖)로 1767년(영조 43)에 제작된 불화이다. 예천 보문사 극락보전에서 1989년 6월 5일 도난되었다가 2014년 8월 회수되었다.

형태 및 특징

비단 바탕에 세로 167.5㎝, 가로 165.3㎝ 크기의 정사각형에 가까운 중대형 불화이다. 화면은 상하 2단 구도로 윗부분은 중앙 지장보살, 왼쪽 천장보살, 오른쪽 지지보살이 각각 협시를 두고 있는 삼존도 형식의 삼장보살을 배치하였다. 그림 아랫부분은 성곽과 소나무 등을 경계로 왼쪽에 시왕도, 오른쪽에 지옥도를 그려 전체 구도가 '품(品)'자형이다.

원형 두신광을 갖춘 삼장보살은 승형 지장보살이 천장보살, 지지보살보다 앞서서 크게 배치되었고, 천장보살과 지지보살은 뒤로 물러서 있다.

성곽을 경계로 그림 왼편에 수묵산수 병풍을 배경으로 면류관이나 원류관을 쓴 시왕들이 공복을 입고 앉아 있다. 시왕 앞에서 심판에 관련된 내용을 돕고 있는 판관, 녹사, 사자, 동자 등이 있다.

화면 중앙에 있는 성곽 문을 통해 망자(亡者)가 넘어질 듯 사자(使者)에게 끌려오면서 지옥으로 인도된다. 지옥 장면은 대애지옥(碓碍地獄), 거해지옥(鉅解地獄), 철정지옥(鐵釘地獄), 확탕지옥(鑊湯地獄), 도산지옥(刀山地獄)의 형벌 장면을 생생하게 표현하였다.

「예천 보문사 삼장보살도」는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한 삼계(三界)에서 선명한 녹색 소나무와 황색 채운이 가득한 성벽을 따라 화면 오른편 심판 장면으로 이어지고, 성문을 통해 자연스럽게 왼쪽 지옥 형벌 장면으로 이어진다. 이를 통해 지장보살의 명부계를 중시한 삼장보살도임을 알 수 있다.

녹색 소나무, 황색 채운, 성벽을 사용하여 화면을 나누는 형식은 「양산 통도사 석가팔상도」(1775년)에서 볼 수 있는 화면 분할 방식으로 수화승 화월당(華月堂) 두훈(抖薰)의 화풍과 친연성이 깊다.

의의 및 평가

삼장보살은 유래를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조선 후기 승려 지환(智還)이 편찬한 수륙재 관련 의식집인 『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에 중단 의궤로 기록되어 있으므로 수륙재 의궤에서 발전한 것으로 추정된다.

보통 천장보살, 지지보살, 지장보살로 구성된 삼장보살도 외에 시왕, 지옥 장면이 결합하여 삼장보살과 지장시왕 도상을 융합한 유일한 예이며, 중심에 지장보살을 그려 영가천도를 목적으로 하는 수륙재와 강한 친연성을 볼 수 있는 불화이다. 2017년 12월 26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논문

정승현, 「조선시대 삼장보살도 연구」(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탁현규, 「18세기 삼장탱 도상과 양식 연구」(『미술사학보』 23, 미술사학연구회, 2004)
집필자
김경미(고려대학교 강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