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응심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시대 군기시부정, 평안도병마우후, 영변부사 등을 역임한 무신.
이칭
언용(彦容)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70년(선조 3)
사망 연도
1632년(인조 10)
본관
남원(南原)
주요 관직
이천현감|도총부도사|명천현감|형조좌랑 |평양판관|군기시부정|평안도병마우후(兵馬虞候)|영변부사
관련 사건
정묘호란
정의
조선시대 군기시부정, 평안도병마우후, 영변부사 등을 역임한 무신.
개설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언용(彦容). 세조 때의 공신 양성지(梁誠之)의 6대손이며, 곡산군수 양윤정(梁允精)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감찰 양사눌(梁思訥)이고, 아버지는 참봉 양은(梁誾)이다. 어머니는 전주이씨로, 돈용교위(敦勇校尉) 이사안(李思安)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00년(선조 33)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으로서 비변랑(備邊郎)을 겸하였고, 이천현감·도총부도사·명천현감·형조좌랑 등을 역임하였으며, 선조 말년에는 평양판관을 지냈다. 광해군 때 대북정권(大北政權)의 실정에 항의하여 사임하였다.

1623년(인조 1) 사헌부의 탄핵에 의하면, 판관으로 재임하였을 때에 권간(權奸)의 부탁으로 주사(舟師)를 동원하여, 미포(米布)를 도둑질하고 5, 6척의 몫을 사용하였다 한다.

1627년 정묘호란 때에 인조를 강화도에 호종한 뒤 군기시부정이 되고, 평안도의 병마우후(兵馬虞候)를 거쳐 1629년 영변부사가 되었다. 글씨에 능하여 특히 예서와 초서를 잘 썼다고 한다.

참고문헌

『명곡집(明谷集)』
『기언(記言)』
『잠영보(簪纓譜)』
집필자
이수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