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경잡기 ()

목차
관련 정보
동경잡기
동경잡기
인문지리
문헌
조선후기 문신 성원묵이 『동경잡기』를 증보하여 1845년에 중간(重刊)한 지방지.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신 성원묵이 『동경잡기』를 증보하여 1845년에 중간(重刊)한 지방지.
내용

3권 3책. 목판본. 동경은 고려 때 경주의 별칭이다. 작자 미상으로 전부터 전해오던 『동경지(東京誌)』를 1669년(현종 10) 민주면(閔周冕)이 이채(李採) 등 향중 인사와 함께 편집, 보완하여 『동경잡기』라고 개칭, 간행하였다.

이것을 1711년(숙종 37) 남지훈(南至熏)이 첨보(添補)하여 재간(再刊)하고, 1845년 성원묵이 다시 증보, 정정하여 중간하였다. 1910년 조선고서간행회(朝鮮古書刊行會)가 성원묵의 판본을 인쇄본으로 간행하였고, 1913년 최남선(崔南善)이 주관하던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가 이것을 또 활자본으로 중간하였다.

내용 구성은 책머리에 목록이 있고, 권1에 진한기(辰韓紀) · 신라기(新羅紀) · 경주지계(慶州地界) · 건치연혁(建置沿革) · 관호연혁(官號沿革) · 속현(屬縣) · 진관(鎭管) · 속임(屬任) · 인리(人吏) · 노비(奴婢) · 읍명(邑名) · 성씨(姓氏) · 풍속(風俗) · 산천(山川) · 승지(勝地) · 토산(土産) · 성곽(城郭) · 관방(關防) · 봉수(烽燧) · 궁실(宮室) · 창고(倉庫) · 학교(學校) · 역원(驛院) · 교량(橋梁) · 사묘(祠廟) · 능묘(陵墓) · 기우소(祈雨所)가 있다.

권2에 불우(佛宇) · 고적(古蹟) · 수(藪) · 호구(戶口) · 군액(軍額) · 전결(田結) · 제언(堤堰) · 각방(各坊) · 각동(各同) · 명환(名宦) · 인물(人物)이 있고, 권3에 우거(寓居) · 과목(科目) · 음사(蔭仕) · 효행(孝行) · 우애(友愛) · 충의(忠義) · 정렬(貞烈) · 기예(技藝) · 서적(書籍) · 제영(題詠) · 잡저보유(雜著補遺) · 이문(異聞)이 있으며, 권말에 남지훈과 성원묵의 발문이 각각 실려 있다. 조선광문회의 활자본에는 책머리에 ‘동경잡기간오(東京雜記刊誤)’가 첨부되어 있다.

이 책은 신라의 고도 경주의 읍지라는 점에서 다른 읍지에 비해 신라 시대의 사실이 풍부하게 담겨 있다. 신라기 · 불우 · 고적 · 인물 조항이 그 예이다. 『동국여지승람』의 편목을 토대로 하면서 조선 후기 일반 읍지의 항목을 많이 설정하였다. 각방 · 각동 조항은 경주부의 읍 · 면 · 이 · 동의 구획과 면리임(面里任)의 명칭 및 수령(守令)의 하부 행정체계를 구명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또한, 당시 영남 지방에 연분서원(年分書員)의 관할구역으로서의 ‘동(同)’의 구획을 살필 수 있다. 특기할 사항은 신라기조에는 신라 건국에서 멸망까지의 역사를 본기형식(本紀形式)으로 기록하였다. 호구조는 기유식(己酉式)을, 전결조는 갑술양안(甲戌量案)을 각각 따르고 있다. 제영조에는 「회소곡(會蘇曲)」을 비롯한 신라의 가곡(歌曲)이 많이 실려 있고, 이문조에는 「연오랑세오녀(延烏郎細烏女)」 등의 신라의 설화 · 전설 · 기담(奇談)이 실려 있다.

전체적으로 군치(郡治)에 중요한 장시(場市) · 전세(田稅) · 균세(均稅) · 대동(大同) 등의 경제 조항이 누락된 반면 인물 관계의 문화적 내용의 비중이 크며, 시문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이 밖에도 1845년의 목판본 『동경잡기』가 국립중앙도서관동국대학교 도서관, 장서각도서 등에 있고, 1913년의 조선광문회 활자본 『동경잡기』는 서울대학교 · 동국대학교 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국사편찬위원회 등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동경통지(東京通志)』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수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