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가 ()

목차
관련 정보
순오지
순오지
고전시가
작품
역대 치란흥망(治亂興亡)의 사실이나 제왕과 성현들의 사적을 서사체로 노래한 시가.
목차
정의
역대 치란흥망(治亂興亡)의 사실이나 제왕과 성현들의 사적을 서사체로 노래한 시가.
개설

‘역대가’라는 명칭은 고유명사이면서 동시에 보통명사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비록 ‘역대가’라고 이름을 붙이지 않았으나 역대 사적을 노래한 것도 넓은 의미에서는 ‘역대가’라 할 수 있다.

「역대가」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① 오세문(吳世文)의 「역대가」: 고려 명종∼고종 연간의 문인 오세문이 지은 시가로 『삼국유사』에 그 기록이 보인다. 현재 작품은 전해지지 않으나 내용은 중국 상고시대의 왕 반고(盤古)에서부터 역대 변천을 서사체로 노래한 한시작품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② 진복창(陳復昌)의 「역대가」: 조선 전기의 진복창이 지었다는 가사로 『순오지(旬五志)』에 수록되어 있다. 역대 제왕의 치란과 성현군자들의 사적을 교훈적으로 노래한 것이다. 심수경(沈守慶)의 『견한잡록(遣閑雜錄)』에는 진복창이 「만고가(萬古歌)」를 지었다고 하면서 「역대가」와 같은 내용을 소개하였다. 이것으로 미루어 보아 이 가사의 이름이 ‘만고가’라고도 불렸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이 현전하는 「역대가」들 중 어느 하나인지 혹은 전하지 않는 것인지는 알 수 없다.

③ 「초당문답가(草堂問答歌)」 중 「역대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로 중국 태고 때부터 청나라까지를 노래하고, 뒤에 우리 나라의 역대를 간략하게 노래하였다. 성주(聖主)를 도와 중원을 회복하자는 내용으로 끝난 것으로 보아, 북벌을 주장하던 조선조 효종 이후에 지은 것으로 추측된다.

④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의 「역대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체이며, 단권의 사본으로 되어 있다.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에도 같은 사본이 소장되어 있다. 중국 상고시대에서 명나라 멸망까지를 노래하였는데, 원나라와 우리 나라의 역대 사적에 관해서는 전혀 노래되지 않았다. 다른 「역대가」들과 달리 길이가 총 6,000여 자로 대단히 길다.

이 밖에도 『악부(樂府)』에 2종, 『고금기가(古今奇歌)』에 1종의 「역대가」가 전해지고 있다. 그리고 ‘역대가’라 이름 붙이지는 않았으나 내용상 ‘역대가’라 할 수 있는 것으로 이규보의 『동명왕편』, 이승휴의 『제왕운기(帝王韻紀)』, 신득청(申得淸)의 「역대전리가(歷代轉理歌)」, 윤회(尹淮) 등의 「역대세년가(歷代世年歌)」, 권도(權蹈)의 「동국세년가」, 오찬기(吳贊基)의 「만고역대시」 및 「동국역대시」 등이 있다. 또한 「용비어천가」·「한양가」 등도 모두 넓은 의미의 역대가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한국고서종합목록(韓國古書綜合目錄)』(윤병태, 대한민국국회도서관, 1968)
『시화(詩話)와 만록(漫錄)』(차주환, 민중서관, 1966)
「양곡(洋谷) 진복창(陳復昌)의 역대가(歷代歌) 모색(摸索)」(강전섭, 『동방학지』62, 연세대학교국학연구원, 1989)
「역대가류고(歷代歌類攷)」(정재호, 『어문논집』1, 고려대학교국어국문학연구회, 1968)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재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