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가삼이집 ()

목차
관련 정보
영가삼이집
영가삼이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홍석주 · 홍길주 · 홍현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4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홍석주 · 홍길주 · 홍현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홍석주가 자기 조상들의 문집인 『풍산세고(豊山世稿)』를 편찬한 뒤 그 사업의 연장으로 형제들과 의논, 1824년(순조 24)에 스스로 편집하였다. 그 뒤 1884년(고종 21) 전사자(全史字)로 인쇄, 간행하였다. 앞에 이정복(李正復)의 서문과 총 목차를 두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1884년의 간행본이 있으며, 규장각 도서와 장서각 도서에 필사본이 있다.

권1은 홍석주의 「연천자문선(淵泉子文選)」으로서 시 29수, 부 2편, 서(序) 7편, 발 1편, 기 2편, 묘표 1편, 묘지명 1편, 제문 2편, 명 1편, 잡저 8편을 수록하였다.

홍석주의 시는 친지들과의 관계에서 이루어진 것과 여행의 감흥과 사적을 읊은 기행시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속적벽부(續赤壁賦)」와 같이 명작을 본뜬 형식을 시도한 것도 있다.

서발(序跋)에는 「정묘어서첩발(正廟御書帖跋)」·「고식서(故寔序)」와 같이 정조, 또는 정조의 문화 사업과 연관된 것이 많다. 서(書)는 이원(吏員)이면서 시명(詩名)이 높던 장혼(張混)과 문학을 논한 특이한 것이다.

잡저의 「정노제(訂老題)」는 노자(老子)의 사상을 비판한 글이다. 원래의 81항목 중에서 상덕부덕장(上德不德章)과 명여신숙친장(名與身孰親章)을 비판한 두 항목을 수록, 홍석주의 정통 성리학자로서의 풍모를 보여 준다.

권2는 홍길주의 「항해자문선(沆瀣子文選)」으로서 시 18수, 부 1편, 서(書) 1편, 서(序) 5편, 전 1편, 기 4편, 묘지 1편, 뇌(誄) 1편, 송(頌) 1편, 잡저 5편, 변려(騈儷) 1수가 수록되어 있다.

시는 기행시 또는 자연을 읊은 시가 대부분이다. 화첩(畫帖)·장서(藏書)에 대한 글들이 많이 들어 있다.

권3은 홍현주의 「해거자문선(海居子文選)」으로서 시 19수, 사(辭) 1편, 서(序) 2편, 기 2편, 잡저 3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에 수록된 글들은 저자들이 젊었을 때의 것에 한정되며 그 중에도 간추린 것들이다. 이들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위해서는 그 뒤에 편찬된 각자의 시문집을 참고하면 된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정선남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