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오추리 고택 ( )

목차
관련 정보
예산 오추리 고택
예산 오추리 고택
주생활
유적
문화재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에 있는 조선후기에 건립된 전형적인 농촌마을의 초가.
목차
정의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에 있는 조선후기에 건립된 전형적인 농촌마을의 초가.
내용

1984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9세기 초에 지은 것으로, 집의 뒷산이 좌우로 뻗어 나와 좌청룡·우백호를 이루고, 오른쪽으로 비껴서 수구(水口)가 열리면서 넓은 들판이 펼쳐지는 명형국지(名形局地)에 동남향하고 있다.

이 집에 이르는 진입로는 오른쪽 산자락 끝의 안산(案山)을 휘감아 돌아서 들도록 하였다. 넓은 들판의 가운데에는 나무를 일렬로 심어 뒷산의 울창한 숲과 함께 아늑한 공간감을 느끼게 하고 있다.

이 집은 안마당을 중심으로 앞쪽에 대문간이 있는 사랑채와 뒤쪽에 안채가 이룬 ⊐형의 트인 곳에 3칸 광채가 사랑채의 좌우측 기둥에서 1칸 정도 떨어져 안마당을 가로막고 있어 튼ㅁ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안채는 5칸 전퇴(前退) 집으로 좌측에서부터 1칸 끝방, 1칸 윗방(가운뎃방), 1칸 안방, 1칸 부엌, 마지막 1칸은 전후로 반칸 정도씩 크게 잡아서 앞뒤에 각기 부엌광과 나뭇간을 마련하고 있다. 부엌광 앞으로 돌출한 익사는 1칸 장독간, 1칸 외양간 순으로 대문간 우측의 광과 연이어져 있다.

끝방·윗방·안방의 세 방 사이에는 네짝미서기문을 달고 내통할 수 있게 하였으며, 세 방의 앞에는 툇마루가 시설되어 있다. 안방과 윗방의 전면 개구부에는 用자살의 미서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는 대부분의 주택에서 띠살여닫이를 설치하는 것과는 달리 이색적이다. 사랑채는 4칸 전퇴집으로, 좌측에서부터 2칸 사랑방, 1칸 대문간, 1칸 광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방 앞에는 툇마루가 시설되어 있고, 대문간에는 방에 불을 지필 수 있는 아궁이가 시설되어 있다.

광채는 사랑채의 좌우측 기둥과 샛문으로 연접된 3칸 맞걸이 집으로, 좌측에서부터 2칸 헛간, 1칸 광이 배설되어 있다. 안채는 막돌허튼층쌓기의 세벌대 기단 위에 자연석 덤벙초석을 놓고 전면에만 방주를 세우고 나머지는 두리기둥을 세웠으며, 주상(柱上)에 굴도리를 사용한 민도리집이다. 상부가구는 이고주(二高柱) 사량가(四樑架)의 간소한 구조이며, 지붕은 우진각 초가지붕이다.

지붕의 전면 서까래를 경사지게 하지 않고 수평에 가깝도록 걸쳤는데, 이는 중남부지역의 평야지대의 민가에서 볼 수 있는 특이한 기법이다. 사랑채의 구조는 안채와 같은 방식이나, 모두 방주를 세우고 모죽임한 납도리를 사용한 것이 다르다.

이 집은 명형국지에 인위적으로 아담한 공간을 형성한 주위경관이 두드러진다. 원뿔형으로 나지막하게 돌려 쌓은 토담 위에 속이 빈 통나무를 세우고 이엉을 덮은 굴뚝 모습이 눈길을 끈다.

참고문헌

『한국의 주거민속지』(김광언, 민음사, 1988)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편 상(문화재관리국, 1985)
집필자
김일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