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재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온재유고
온재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김진옥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49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김진옥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4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2책. 목활자본. 1849년(헌종 15) 후손 재선(在宣)·명수(命洙)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홍직필(洪直弼)과 후손 재수(在洙)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권1에 시 82수, 권2에 연대(筵對) 2편, 기(記) 2편, 발(跋) 6편, 권3에 서(書) 19편, 권4에 묘표 2편, 행장 3편, 권5에 고문(告文) 13편, 제문 19편, 잡저 4편, 권6에 부록으로 제문·가장(家狀)·행장·묘표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이건명(李健命)·정철(鄭澈) 등의 시에 차운(次韻)한 것이 있으며, 첩운(疊韻)을 쓴 것이 비교적 많다. 또한, 당시의 재상 조태채(趙泰采)의 죽음을 애도하여 쓴 추모시가 있다.

기 가운데 「나주보역청기(羅州補役廳記)」는 나주지방에 사신과 관리가 자주 내왕하여 이들을 접대하는 데 많은 비용이 들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역청을 설치하고 그 경위를 밝힌 글이다. 「나주양사재중수기(羅州養士齋重修記)」는 나주지방민의 교육을 위하여 세운 양사재를 수리하게 된 내력을 밝힌 글이다.

서는 당대의 유명한 문신인 이이명(李頤命)·권상하(權尙夏) 등에게 보낸 것으로, 주로 안부를 묻는 내용이다. 묘표·묘지·행장·고문 등은 주로 저자의 가계와 관련된 기록이다.

잡저에는 송시열(宋時烈)의 제자인 저자가 스승으로부터 인정을 받은 것을 기뻐하여 쓴 「상자찬(像自贊)」, 송시열에 관하여 기록한 「만의기문(萬義記聞)」 등이 있다. 부록 중 사제문(賜祭文)은 영조의 명으로 예조좌랑 김성한(金聲翰)이 지은 것이다.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