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강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서북면안무사, 예조판서, 예문관제학 등을 역임하였으나, 조선 개국으로 유배된 문신 · 공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394년(태조 3)
주요 관직
동진사|서북면안무사|예조판서|예문관제학|회군공신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후기에, 서북면안무사, 예조판서, 예문관제학 등을 역임하였으나, 조선 개국으로 유배된 문신 · 공신.
생애 및 활동사항

1371년(공민왕 20) 어린 나이로 회시(會試: 국자감시)에 합격하였으므로 왕이 의심하여 회시의 책제(策題)를 쓰게 하였으나 이를 쓰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전시(殿試: 복시에서 선발된 사람에게 임금이 친히 보이던 과거)가 정지되고, 15세 이하는 과거에 응시하지 못하게 되었다.

뒤에 문과에 급제하여 동진사(同進士)가 되고 성균직학(成均直學)·강녕부승(江寧府丞)이 되었다. 1374년 대군시학(大君侍學)·주부(注簿)를 역임하였다. 우왕(禑王) 때에 전리총랑(典理摠郎)을 거쳐 성균좨주(成均祭酒)로 옮겼다가 이어 서북면안무사(西北面安撫使)가 되어 유리인(流離人)들을 안집(安集)하였다.

1390년(공양왕 2) 판전농시사(判典農寺事)로서 양광·전라·경상도수군도체찰사겸방어영전염철사(楊廣全羅慶尙道水軍都體察使兼防禦營田鹽鐵使)가 되었고, 예조판서(禮曹判書)를 거쳐 밀직부사 겸 전라·경상·양광삼도수군도체찰사(密直副使兼全羅慶尙楊廣三道水軍都體察使)가 되어 염철(鹽鐵)·조전(漕轉)·초토(招討)·영전(營田)·선성(繕城)의 일을 겸하여 삼도(三道)의 군수(軍需)와 세공(稅貢)을 운반하는 데 공이 많았으며, 어염(魚鹽)의 이익으로 국가재정을 튼튼하게 하였다.

태안과 서산의 접경인 탄포(炭浦)에 운하를 파서 조운(漕運)을 편리하게 하자는 헌의(獻議)를 올려 공사에 착수했으나 물 밑에 암석이 많고 또 조수의 문제로 인해 결국 실패하였다. 1392년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이 되었으나 조선 개국으로 거제에 유배되었다. 이듬해 풀려나와 회군공신(回軍功臣)에 추록되기도 하였으나 1394년(태조 3) 다시 공주에 유배되고 뒤에 왕씨일족(王氏一族)이 화를 당할 때 함께 살해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태조실록(太祖實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