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권 6책. 목활자본. 1939년 아들 진억(鎭億)·진만(鎭萬)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진억·진만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권1에 시 115수, 소(疏) 1편, 장(狀) 6편, 권2∼5에 서(書) 191편, 권6에 서(書) 29편, 잡저 9편, 서(序) 7편, 기(記) 3편, 권7에 기 4편, 권8에 기 2편, 발(跋) 5편, 잠(箴) 5편, 혼서 7편, 상량문 3편, 고축(告祝) 12편, 권9에 제문 30편, 권10에 비(碑) 6편, 묘갈 11편, 묘표 3편, 권11에 묘표 5편, 묘지 3편, 행장 2편, 유사 1편, 전(傳) 1편, 권12에 부록으로 제문·만사·경란일기(庚亂日記)·유사·행장·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국권을 상실한 뒤 비분강개하여 지은 것이 있다. 소와 장은 모두 사직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서(書)는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스승 송병화(宋炳華)를 비롯하여 박성양(朴性陽)·조병세(趙秉世)·윤용구(尹用求)·이의익(李儀翼) 등 한말의 비교적 비중 있는 관직에 있던 사람들과 교환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 내용은 송병화에게 『대학』·『논어』 등의 경전 가운데 의심스러운 곳을 골라 질의한 몇 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일상적인 안부를 묻는 내용이다.
잡저에는 송나라 구양수(歐陽脩)가 간사한 사람이 군덕(君德)과 사회에 끼치는 피해가 큰 것을 파리에 비유하여 지은 「증창승부(憎蒼蠅賦)」를 비판한 「반증승설(反憎蠅說)」이 있다.
그밖에 학문을 권유하는 내용의 글이 몇 편 있다. 기는 대부분 송도·평양·금강산·속리산·부여 등을 벗과 함께 유람하면서 그 지역의 이정(里程)과 경관 등에 대하여 자세히 기록한 기행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