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호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용호문집
용호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박문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2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박문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책. 목활자본. 1862년(철종 13)에 9세손 경기(慶基)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병덕(趙秉悳)의 서문이, 권말에 경기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제1책은 시 30여수, 부(賦) 2편, 표(表)·논(論)·책(策)·의(疑) 각 1편, 제문 11편, 잡저 15편, 문목(問目) 3편, 제2책은 외집으로 가장·갈명·행장·만사·제문·서간 40여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절구·율시·과거에서 18구 이상으로 짓던 시인 행시 등 다양한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주로 경호(鏡湖)·지곡사(智谷寺) 등 명승지나 유명한 사찰을 유람하면서 지은 것이 많다. 또한, 만시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오장(吳長)·오익승(吳翼承)·정홍서(鄭弘緖) 등의 시에 차운하였는데, 원운(原韻)도 아울러 실었다. 잡저는 주로 서원을 창건하면서 지방관에게 협조를 요청하거나, 군정(軍政) 및 이서(吏胥) 등의 폐단을 바로잡아줄 것을 지방관에게 건의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문목은 스승 정구(鄭逑)에게 어머니의 상을 당한 뒤 아버지의 묘를 개장하면서 그 의례를 질의한 것, 서원의 봉안절차를 문의한 것 등으로 되어 있다. 저자에 대한 기록은 권도(權濤)·안극효(安克孝)·정홍서·이호민(李好閔) 등이 지었다. 서(書)는 정구·김우옹(金宇顒)·이호민·정온(鄭蘊) 등에게 받은 편지들이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