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곡선생훈자격언 ()

목차
유교
문헌
조선후기 학자 강덕후가 『성학집요』를 본받아 각 주제에 해당하는 선현들의 말을 채집하고 자신의 의견을 덧붙여 1668년에 저술한 교훈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학자 강덕후가 『성학집요』를 본받아 각 주제에 해당하는 선현들의 말을 채집하고 자신의 의견을 덧붙여 1668년에 저술한 교훈서.
내용

정치적인 이유로 유배중인 아들 강석규에게 1668년(현종 9)에 지어 보낸 것을, 현손 강규환(姜奎煥)이 1716년(숙종 42) 도설(圖說)을 붙이고 한원진(韓元震)의 서문을 얻어 1724년(경종 4)에 간행하였다.

그 뒤 6세손 강창회(姜昌會) 등이 홍석주(洪奭周)의 후서(後序)를 얻어 1831년(순조 31)에 간행하였다. 앞머리에 한원진의 서문, 규환이 붙인 「우곡선생훈자격언도설(愚谷先生訓子格言圖說)」과 목록이 있다.

도설은 이 책의 논지를 도식으로 재구성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붙인 것이다. 본문은 통설(通說)을 앞에 두고 입지(立志)에서 대향당(待鄕黨)에 이르는 21개조항을 설명하였으며, 끝에 총론을 붙여 논지를 총괄하였다.

그 뒤 저자가 규환에게 이 책을 보내던 때의 편지를 실었으며, 끝에는 홍석주의 후서가 있다. 본문의 체재는 이이(李珥)의 『성학집요(聖學輯要)』를 본받아 각 주제에 해당하는 옛 인물들의 말을 채집하고, 사이사이에 자신의 의견을 덧붙이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대학』의 수신제가가 전체의 강령인데, 수신에 대해서는 거경(居敬)·궁리(窮理)·역행(力行)의 세 요점과 다시 그것들에 따른 조목 11개조항이 있어 제가의 근본을 이루며, 제가의 요점으로는 정윤리(正倫理)·독은의(篤恩義)와 그에 따른 9개조목이 있어 치국의 근본을 이룬다고 하였다.

동시에 수신과 제가는 분리되는 두 길이 아니므로 그것을 지(知)·인(仁)·용(勇)의 세 달덕(達德)으로 체득하고 함양할 때 치국과 평천하가 어려움 없이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규장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장서각 도서 등에 1831년에 간행된 1책의 활자본이 있다.

집필자
정선남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