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雲門寺) 작압전(鵲鴨殿)에 봉안되어 있는 4구의 석조사천왕상이다. 크기는 각각 162㎝, 151㎝, 163㎝, 154㎝로, 약간씩 차이가 있다.
운문사 석조사천왕상이 운문사 작압전에 언제부터 봉안되어 있었는지 알 수는 없다.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운문사 석조여래좌상 좌우에 각각 2구씩 배열되어 있으며, 사천왕상과 관련되는 문헌 기록이나 명문이 전혀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조성 배경을 알 수 없다. 그러나 운문사 석조사천왕상의 형태를 미루어보아 특정한 석조물의 부재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원래부터 이곳에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
운문사 석조사천왕상은 불교 세계관에서 우주의 중심에 서 있다고 말하는 수미산(須彌山) 중턱의 동서남북 네 하늘나라를 지키는 사천왕을 표현한 것이다. 사천왕이란 동방의 지국천왕(持國天王), 서방의 광목천왕(廣目天王), 남방의 증장천왕(增長天王), 북방의 다문천왕(多聞天王)을 말한다.
운문사 석조사천왕상은 장방형의 판석 위에 고부조로 새긴 것이다. 사천왕상들은 모두 원형의 두광(頭光: 머리 주위의 빛의 표현)을 가지고 있으며, 머리카락을 묶은 띠가 머리 양옆에서 위로 솟구쳐 올라가 있다. 또한 갑옷을 걸치고 무기를 들고서 발 아래 생령(生靈)을 밟고 서 있다.
석조사천왕상은 굳게 다문 입과 늘씬한 체구, 넓은 어깨 등에서 붓다와 불법(佛法) 수호의 역할을 맡은 사천왕의 성격을 충분히 보여준다. 갑옷을 입음으로써 생길 수 있는 경직된 느낌을 한쪽 다리를 살짝 내밀거나 구부림으로써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운문사 석조여래좌상의 우측 첫 번째 서 있는 불탑(佛塔)을 든 천왕상이 북방을 지키는 다문천왕이라는 것을 제외하곤 나머지 존상들의 존명은 확정할 수 없다. 다문천왕은 정면관(正面觀)에 가까운 자세를 취하고 있는데, 내려뜨린 오른손으로 천의(天衣) 자락을 잡고 있으며, 어깨까지 들어 올린 왼손으로는 불탑을 떠받들고 있다. 그 오른쪽의 천왕상은 왼쪽 무릎을 살짝 굽힌 좌향(左向)의 존상으로, 오른손으로는 삼고저(三鈷杵)를 잡고 있으며, 왼손은 허리 부분에 두어 천의 자락을 잡고 있다. 석조여래좌상의 왼쪽 첫 번째 천왕상은 왼쪽 무릎을 살짝 구부린 모습으로, 왼손은 어깨까지 들어올려 화염 보주(火焰寶珠: 불꽃이 타오르는 듯한 모습의 보배로운 구슬)로 보이는 물건을 잡고 있으며, 오른손은 오른쪽 허벅지 위에 살짝 올려 놓았다. 그 바깥쪽에 있는 천왕상은 오른쪽 무릎을 구부린 상태로 양 손으로 칼을 쥐고 있다.
운문사 석조사천왕상은 7등신(等身)에 가까운 비례를 갖춘 늘씬한 모습이지만, 얼굴을 제외하곤 양감이 줄어든 상태이다. 이들 천왕상에 보이는 양식적인 특징들은 통일신라시대 880년에 조성된 보조선사탑(普照禪師塔)의 사천왕상들과 비슷하여 9세기 후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측된다.
운문사 석조사천왕상은 원래 석탑 등 석조물의 부재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천왕상의 얼굴에는 통일신라시대 8세기의 특징이 남아 있지만, 조형적으로 길어지고 평판적인 느낌이 드는 등 통일신라시대 9세기 존상의 특징을 보여준다. 석조사천왕상은 사천왕상 뿐만아니라 그들이 밟고 있는 생령(生靈)의 표정까지 적나라하게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운문사 석조사천왕상은 통일신라시대 9세기의 불탑 부재로 추정되어 당시 불탑의 도상을 연구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또한 사천왕상의 도상적인 특징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어서 통일신라시대 9세기의 사천왕상 연구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