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보살상은 높이 46.5㎝, 무릎 폭 34㎝. 보살상은 화강암으로 조성되었으며, 보살상 손 위에 올려져 있는 빨간색의 원형 보주는 근년에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극락사 석조지장보살좌상에는 복장물을 넣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복장 구멍이 있으나 발원문은 없어진 상태이다.
극락사 석조지장보살좌상은 민머리를 한 비구형의 보살상이다. 보살상은 대의 안쪽에 편삼을 착용하고 있으며, 가부좌를 취하고 있다. 수인(手印)은 두 손을 배 앞에 모아 엄지를 맞댄 채 오른손은 위에, 왼손은 아래에 포갠 모습의 선정인(禪定印)을 결하고 있다. 보살상은 머리가 신체에 비해 큰 편이며, 아담한 조형을 보여 준다. 그러나 측면에서 보면 상체와 하체가 두꺼워 튼실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보살상은 부분적으로 약간씩 다르지만, 전체적으로는 좌우 대칭을 이루는 조형을 갖추고 있다.
얼굴 표정은 개금(改金)할 때, 금박(金箔)이 두껍게 입혀져 원래의 모습이 잘 드러나지는 않는다. 정면에서 보면, 이마 폭이 넓고 턱이 좁은 둥근 얼굴을 하고 있으나 측면은 턱을 앞으로 살짝 내민 타원형이다. 보살상은 둥글게 그린 눈썹과 가늘고 긴 눈, 사실적인 코, 힘을 주어 다문 입을 가지고 있다. 양 볼에는 살이 올라 있으며, 큼직한 귀는 살짝 정면을 향하고 있다. 목은 굵은 편이며 삼도(三道)가 표현되어 있다.
상체가 짧고 하체는 두꺼운 편으로 안정감을 준다. 보살상은 대의(大衣)와 승각기(僧脚崎)로 보이는 법의를 걸치고 있다. 법의 자락은 철저하게 좌우 대칭으로 처리되었는데, 하체를 덮고 흘러내린 법의도 다리 중앙의 V자식의 옷주름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고 있다.
석조지장보살좌상의 바닥에는 지름 15㎝ 정도의 둥근 구멍이 안쪽으로 얼굴 부분까지 뚫려 있는데, 복장물을 봉안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극락사 석조지장보살좌상은 전체적인 비례나 얼굴 형태를 통하여 조선 중기 이후에 조성된 보살상의 특징을 갖추고 있다.
극락사 석조지장보살좌상은 화강암으로 조성한 다음, 채색과 도금을 한 존상이다. 조선 전기의 화강암으로 만든 불상들은 대부분 회분(灰分)을 바르고 그 위에 채색을 입혔기 때문에 석조지장보살좌상이 원래부터 이러한 모습을 하고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다. 석조지장보살좌상은 지장보살상이면서 선정인을 결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지만, 조선 전기에 만든 석불좌상 중에는 비구형의 불상이 다수 남아 있어서 이 보살상도 원래부터 지장보살로 조성되었는지는 알 수가 없다.
극락사 석조지장보살좌상은 조성 배경을 알려줄 만한 기록이 전혀 남아 있지 않지만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존상으로서, 복장 구멍이 남아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복장물을 봉안하기 위하여 마련된 복장 구멍이 언제부터 뚫려 있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조성 당시의 것이라면 석불의 복장물 봉안 방식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