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소만고 ()

목차
관련 정보
운소만고
운소만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영유의 서(序) · 기 · 잡저 · 제발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영유의 서(序) · 기 · 잡저 · 제발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5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자와 편집 연대는 미상이다. 벌레 먹고 썩어문드러진 데가 많아 식별하기 어려운 곳도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제1책에 서(序) 62편, 기(記) 24편, 제2책에 잡저 41편, 제3책에 제발(題跋) 124편, 제4책에 비명 3편, 묘갈명 3편, 묘지명 10편, 광명(壙銘) 4편, 광지(壙誌) 2편, 묘표 3편, 행장 7편, 시장(諡狀) 3편, 제5책에 제문 43편, 애사 4편이 수록되어 있다.

1책의 서목(序目)에는 서(序)·서(敍)·인(引) 등이 수록되어 있고, 제3책의 제발목(題跋目)에는 제발·사(辭)·첩(帖)·도(圖) 등이 망라되어 있다.

서(序)는 「사서고이집의서(四書攷異集義序)」·「서설서(書說序)」·「시설서(詩說序)」·「해동문선서(海東文選序)」·「당시운선서(唐詩韻選序)」·「매호집서(梅湖集序)」 등 유교 경전이나 역대 시문집에 대한 것이 많다. 기의 「기악공김성기사(記樂工金聖基事)」는 김성기(金聖器)의 음악적 재질과 음악관을 서술한 글이다.

잡저의 「천문(天問)」·「묘악변(廟樂辨)」·「예론(禮論)」·「선변(禪辨)」·「무왕론(武王論)」 등은 경전·인물·문물제도 등을 변론한 글들이다.

제발은 「주자대전교본발(朱子大全校本跋)」·「서사서대전후(書四書大全後)」·「과정록발(過庭錄跋)」·「해동풍요발(海東風謠跋)」·「제당운율선(題唐韻律選)」 등 유교 경전 또는 그에 관련된 책과 시문집, 음악서에 대해 쓴 것이다.

여러 편의 첩(帖)은 장유(張維)·송시열(宋時烈)·소식(蘇軾) 등 우리나라와 중국의 역대인물의 서적에 대해 쓴 것이다. 이 책은 시와 서(書)는 한 편도 없으나, 유교 경전이나 문물제도 및 시문집에 대한 학문적 저작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참고가 된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