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영대 ()

목차
관련 정보
안동 월영대 정면
안동 월영대 정면
건축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안동시 성곡동에 있는 조선후기 바위에 새긴 월계 권공 관련 글씨.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월영대(月映臺)
분류
유물/일반조각/암벽조각/각석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3년 08월 31일 지정)
소재지
경북 안동시 성곡동 산225-1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성곡동에 있는 조선후기 바위에 새긴 월계 권공 관련 글씨.
내용

1973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월영대란 ‘달이 비치는 대(臺)’란 뜻으로, 금하재(錦下齋)라는 정자 아래 긴 암벽을 다듬어 새겨넣었던 글씨였다.

원래 이곳은 월계권공(月溪 權公)이 시를 읊조리던 곳으로, 그의 종질인 병한(丙漢)이 자취가 사라질까 걱정하여 대를 쌓고, 돌에 대명(臺名)을 새긴 것이다. 글씨는 ‘月映臺’3자뿐이며 깔끔한 해서체로 쓰여졌는데, 필자(筆者)와 각자(刻者)는 알 수 없다. 암벽을 떠낸 각자면(刻字面)은 가로 83㎝, 세로 47㎝로 장방형이고, 글씨 크기는 대략 26㎝ 정도이다.

이러한 암벽과 각자(刻字)의 의상(意想)은 1973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된 안동시 도산면 분천리의 농암각자나 예안면의 목‘桃木村(도목촌)’ 등과 같은 각자의 예가 남아 있어 이 지방에 문아(文雅)한 풍류가 널리 파급되어 있었음을 짐작하겠다. 암각은 1974년 12월 안동댐 수몰로 인해 월곡면 사월리에서 현위치로 이건되었다.

참고문헌

『경북문화재대관(慶北文化財大觀)』(경상북도, 1980)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일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