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광익 ()

풍암집화 / 유광익
풍암집화 / 유광익
유교
인물
조선후기 고산현감, 사복시주부, 지례현감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이칭
사휘(士輝)
풍암(楓巖), 항재(恒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13년(숙종 39)
사망 연도
1780년(정조 4)
본관
전주(全州)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고산현감|사복시주부|지례현감
정의
조선후기 고산현감, 사복시주부, 지례현감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사휘(士輝), 호는 풍암(楓巖) 또는 항재(恒齋). 동지중추부사 유춘(柳春)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일찍이 과거를 포기하고 성리학의 연마에 힘썼다. 『심경주해(心經註解)』를 보완하여 사칠호발(四七互發)의 서(書)를 지음으로써 사우들의 신망을 얻게 되었으며, 많은 제자들이 모여들자 서울 남쪽에 서재를 짓고 강의의 격식을 세웠다. 30세에 이미 학자들이 ‘항재선생(恒齋先生)’이라 칭하였다.

『대학』에 침잠하여 『대학집석(大學輯釋)』을 저술하였다. 이름이 알려져 1760년(영조 36) 창릉참봉(昌陵參奉)이 되었으며, 1764년 서부도사(西部都事)로 임명된 뒤 조지서별제(造紙署別提)와 의금부도사를 역임하였으며, 1767년에는 예빈시주부를 거쳐 고산현감이 되었다.

고산현감으로 재임할 때에는 자신이 농사의 이치를 알고 있다면서 임금을 만날 것을 요청하였다가 관찰사와 조정을 기만한다고 하여 체차당하기도 하였다. 이듬 해 사복시주부·지례현감이 되었다가 1772년 벼슬에서 물러나 직산으로 퇴거하였다.

정조가 세손으로 있을 때에 익위사에 있으면서 동궁을 모신 바 있다. 정통성리학에 몰두하였으며, 자기 나름의 시각을 가지고 우리의 역사를 체계화하였다. 『강학제요(講學提要)』·『동사편년(東史編年)』·『경현신편(景賢新編)』·『풍암집화(楓巖輯話)』 등의 저술을 남겼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이계집(耳溪集)』
『정조실록(正祖實錄)』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정선남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