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선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유선문집
유선문집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한권의 시 · 소 · 계 · 묘지명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한권의 시 · 소 · 계 · 묘지명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후손 동철(東喆)이 여기저기 흩어진 시문을 모아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민병승(閔丙承)이, 발문은 손묵영(孫默永)이 붙였다. 전해오는 초고가 부족하여 내용은 빈약하나 개국 초기 유신(儒臣)들의 의식을 엿볼 수 있는 자료가 된다. 연세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상권에는 저자의 연보가 첫머리에 실렸고, 시 19수, 소(疏)·계(啓) 각 4편과 조선왕조실록에서 저자와 관련된 기록을 초(抄)하여 실어놓았다. 그리고 『국조방목(國朝榜目)』·『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등에서 저자를 소개한 부분을 「습유(拾遺)」라 이름붙여 한군데 모아놓았다.

하권에는 이기희(李紀曦)가 쓴 행장과 묘지명·고묘문(告墓文)·묘도비명·지(識)·후지(後識) 등이 실려 있다. 개국왕조의 유신(儒臣)으로서 넘치는 기개는 여러 소에서 잘 보이는데, 이 중 「논이양우지죄소(論李良祐之罪疏)」에는 성리학 특유의 춘추사관(春秋史觀)이 엿보인다.

신하된 자의 죄가 불충보다 더한 것이 없는데, 이 불충은 두 마음을 품는 데에서 나온다 하고 그런 자들은 당(黨)을 지어 난신(亂臣)이 된다고 말하였다. 그래서 춘추의 법으로 난신을 없애고, 그 당 짓는 것을 다스려야 악인들이 설 자리가 없다고 하였다. 새로운 왕조의 기강을 바로잡으려는 의도가 뚜렷이 드러나 있는 글이다.

또 「청척불계(請斥佛啓)」에는 성리학의 철학을 왕조의 근간으로 삼고 여타의 사상적 혼란을 막으려는 유가적 논리가 분명히 나타나 있다. 체재가 완비된 문집이라고 할 수 없으나 조선 초기 유신들의 생각의 편린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