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홍 ()

유홍초상
유홍초상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사복시부정, 제포첨사, 훈련원도정, 동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무신 · 공신.
이칭
자연(子淵)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83년(성종 14)
사망 연도
1551년(명종 6)
본관
진주(晉州)
주요 관직
우도병마사|전라도수군절도사|회령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사복시부정, 제포첨사, 훈련원도정, 동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무신 · 공신.
개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자연(子淵). 아버지는 영의정 유순정(柳順汀)이며, 어머니는 별좌(別坐) 권효충(權孝忠)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무예를 익혔으며, 1506년 중종반정을 주도한 아버지를 따라 반정군으로 활동, 정국공신(靖國功臣) 4등에 책록되고 사복시주부에 임명되었다.

이듬해 형조정랑과 공조정랑을 역임하였다. 1510년(중종 5) 삼포왜란이 일어나 아버지가 남정도원수(南征都元帥)가 되자 막료로서 도왔고, 난이 평정된 뒤 내자시(內資寺)와 군기시(軍器寺)의 첨정을 지냈다.

이듬해 무과에 급제해 사복시부정에 오르고, 이어 훈련원부정을 거쳐 제포첨사(薺浦僉使)로 나갔다. 이 때 역대의 첨사들이 뇌물을 받고 도서(圖書)의 검사를 소홀히 하여, 왜인이 왜관에 무시로 출입하던 폐습을 단호히 뿌리뽑는 한편, 왜선의 출입을 엄격하게 통제하였다.

이듬해 경상좌도수군절도사가 되었다가 첨지중추부사로 조정에 들어가 오위장을 겸임했고, 1519년 이후 원주와 정주의 목사를 거쳐 훈련원도정, 충청도의 병마사와 수군절도사, 경상우도병마사·전라도수군절도사·회령부사·북병사 등의 변경장수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1544년 진산군(晉山君)에 봉해지고 부총관을 겸하였다. 1545년(명종 즉위년) 을사사화 당시 금직제장(禁直諸將)의 한 사람으로서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되어 가의대부(嘉義大夫)로 승진하고, 1547년 훈련원도정을 거쳐 동지중추부사가 되었다.

무신이면서도 문인·유사(儒士)와 널리 교유하였다. 청렴검소해 공조정랑으로 있을 때에는 선임자들이 관청의 그릇을 함부로 사용하던 폐습을 완전히 근절시키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중종실록(中宗實錄)』
『명종실록(明宗實錄)』
『인재집(忍齋集)』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