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효공선행록 ()

목차
관련 정보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이칭
이칭
유공선행록, 유효공전, 유효공현행록
내용 요약

「유효공선행록(柳孝公善行錄)」은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이 작품은 부자·형제의 갈등을 중심으로 사건이 전개되는데, 형제 갈등이 부자 갈등으로 확대되어 가는 과정과 그 해결을 그리고 있다. 갈등 속에서 가장의 선택이 곧 권위가 되는 상황을 긍정하고 있는데, 가장이 가문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가족 구성원들은 가장의 말에 순종해야 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이는 조선시대의 가장권 등의 기존 관념을 강화하려는 작가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서지

12권 12책. 국문 필사본. 「유공선행록(柳公善行錄)」 · 「유효공전(柳孝公傳)」 · 「유효공현행록」 등 30여 종의 이본이 있다. 작품 내용은 이본 간에 큰 차이가 없으나, 현재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12권의 「유효공선행록」을 선본이라고 할 수 있다. 방각본이나 활자본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 작품은 「유씨삼대록」의 전편이다.

내용

중국 명나라 성화 연간에 성의백 유정경의 부인 경씨는 연과 홍 두 아들을 두었다. 유연이 6세 되는 해에 경 부인이 죽자, 유 공은 후처를 얻지 않고 양민의 딸 주씨를 취하여 가사를 맡긴다. 주씨는 유연 형제를 친자식처럼 기른다. 유연 형제가 자라면서 성격이 크게 달라, 형은 인자하고 아우는 간교하기 그지없다.

유 공은 또한 현명하지 못하여 맏아들보다 둘째 아들을 편애한다. 이때 주1로 있는 권신 도정이 진사 강현수의 처 정씨를 겁탈하려 하다가 정씨가 머리를 기둥에 받아 자살하자, 강 진사가 조정에 고발한다. 유 공이 마침 그 고소를 담당하게 된다. 유 공은 도금오에게 뇌물을 받은 유홍의 부탁으로, 오히려 강 진사를 무고형(誣告刑)으로 처벌하려 하였으나 유연이 부당함을 아뢴다. 홍이 아버지에게 연이 강 진사에게 수백 냥을 받았다고 거짓말로 아뢰자, 아버지는 연을

추밀사주2 정관은 연을 사위로 삼고, 또 친구 성 어사를 움직여 홍을 사위로 삼도록 한다. 홍은 자기 부인보다 형의 아내가 더 어질고 아름다웠기에 질투하여 한탄하는 노래를 지어 부르니, 연은 아우를 불러 꾸짖는다. 앙심을 품은 홍은 틈이 있을 때마다 아버지에게 형을 참소한다. 홍의 아내 성씨가 보다못해 남편에게 말하여도 듣지 않는다.

이때 조정에서 과거를 베푸는데, 아버지의 뜻을 알고 있는 연은 병을 핑계로 응시하지 않고, 홍만이 과거에 응시하여 장원 급제한다. 유 공은 홍이 장원 급제하자 주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맏아들 연을 폐하고 둘째 아들 홍을 맏아들로 삼는다고 선언한다. 집안이 이렇게 되고 보니, 서모 주씨는 병을 핑계로 집안일을 돌보지 않고, 정 부인은 푸른 옷을 입고 죄인으로 자처하며, 연은 두문불출하여 식음을 전폐하고 죽으려고 한다.

이후 연은 유 공의 명으로 과거를 보아 장원 급제한다. 황제는 도금오 등의 참소를 물리치고 연을 태자의 사부로 삼는다. 홍은 형수를 모함하여 아버지로 하여금 친정으로 내쫓게 한다. 이때 황제가 후궁 만 귀비를 총애하여 황후를 폐위하고 태자를 멀리하자, 연이 황후 폐위의 불가함을 상소한다. 황제가 크게 노하여 연을 귀양보낸다.

정 부인은 귀양지로 남편을 찾아오다가 풍파를 만나, 태행산으로 들어가 어두운 동굴 속에서 겨우 살아간다. 연은 우연히 객사에서 사경에 빠져 있는 아내를 발견하고 귀양지로 데리고 와서 같이 지내니, 혼인 후 비로소 부부가 행복하게 지낸다. 홍은 늙은 종을 귀양지에 보내어 형의 유배 생활을 탐지하게 하고, 아버지에게 형이 형수를 데리고 가서 같이 살고 있다고 아뢴다. 유 공이 크게 노하니 연은 하는 수 없이 아내를 산사에 가서 있게 한다.

이때 남만이 중원을 침공하니 홍이 대원수가 되어 남만을 평정한다. 그러나 유 원수가 방자하여 백성을 괴롭히니 민심이 흉흉했다. 조정에서는 만 귀비가 새 황제를 해치려다가 발각되자, 만 귀비와 공모한 도금오 일당이 처형되고 홍은 북해로 유배된다. 연은 유배가 풀리고 이부상서를 제수받는다. 유 상서는 유배된 아우를 생각하여 근심으로 지내며, 아우의 맏아들 백경을 자기 맏아들로 삼아 친아들 이상으로 사랑한다. 그리고 자기 아들 우경보다 먼저 혼인시켜 가정의 화목을 돈독히 한다.

황제가 유 상서의 지극한 우애지심을 가상히 여겨 홍의 유배를 풀어 준다. 유 상서는 아우의 아들 백경과 자기의 아들 우경으로 하여금 함께 아우를 맞이하여 오게 한다. 이에 홍이 자신의 죄를 뉘우치고 아버지와 형에게 사과하니, 어느 부자와 형제보다도 효도와 우애를 극진히 하게 되었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부자 · 형제의 갈등을 중심으로 사건이 전개되는데, 형제 갈등이 부자 갈등으로 확대되어 가는 과정과 그 해결을 그리고 있다. 이때 갈등의 원인은 아우 홍이 가지고 있는 장자 계승에 대한 관심과 형 유연에 대한 열등감이다. 그리고 이러한 갈등은 대효(大孝)를 잃지 않은 이상적인 인물인 유연의 수신(修身)에 의해 해결되고 있다. 이러한 갈등 속에서 가장의 선택이 곧 권위가 되는 상황을 긍정하고 있는데, 가장이 가문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그것이 가족 구성원에 대한 신체적 폭력이든 혹은 대(代)를 이은 장자권의 교체이든 아니면 부당한 처사이든 간에 가족 구성원들은 가장의 말에 순종해야 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이는 조선시대의 가장권 등의 기존 관념을 강화하려는 작가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연구』(교학사, 1981)

논문

송성욱, 「고전소설에 나타난 부의 양상과 그 세계관」( 『관악어문연구』 15, 관악어문학회, 1990)
임치균, 「유효공선행록연구」(『관악어문연구』 14, 관악어문학회, 1989)
조혜란, 「<유효공선행록>에 나타난 가장권(家長權) 행사의 문제」(『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0,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5)
주석
주1

중국 한나라 때에, 대궐 문을 지켜 비상사(非常事)를 막는 일을 맡아보던 벼슬. 우리말샘

주2

나라의 기밀과 군사 문제를 다루던 기관.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