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문충의록 ()

목차
관련 정보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내용 요약

『양문충의록』은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중국 송대를 배경으로 오왕 양광효와 그의 아들 백경, 손자 희정 등 3대에 걸친 수많은 아들과 딸, 손자들의 결혼에서 전개되는 다양한 사건을 서술하였다. 특히 『양문충의록』에서 양인광의 아버지가 역적이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아울러 『현몽쌍룡기』 · 『조씨삼대록』과 연작 관계에 있어 방대한 서사 세계를 보여 준다.

목차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서지

43권 43책. 국문 필사본(筆寫本).

장서각(藏書閣)에 2종의 이본(異本)이 전한다. 모리스 쿠랑[Courant, M.]의 『조선도서목록(朝鮮圖書目錄)』에 의하면 오왕의 정비(正妃) 조씨 집안의 사적은 『조씨삼대록(趙氏三代錄)』에 서술해 놓았다고 한다.

내용

송나라주6 주7 황제 때에 오왕 양광효는 산천 정기(精氣)와 일월 정기를 타고 태어난다. 양광효는 초년(初年)에 팔자(八字)가 사나워 어릴 때 아버지를 여의고 할아버지의 교훈과 할머니의 손에서 자라난다.

오왕의 장남 백경은 황제의 명으로 위씨를 아내로 취하고, 다시 철 소저(小姐)를 아내로 취한다. 백경이 위씨를 박대(薄待)하고 뒤에 취한 철 소저만을 사랑하자, 위씨가 철 소저를 해치려고 한다. 그런 때에 백경이 강서안찰사로 나가게 되자 철 소저는 남편을 따라간다. 이때 연왕이 철 소저를 탐내던 처조카 후관을 위해 철 부인을 납치하려 한다. 이것을 안 한 상궁(尙宮)이 철 소저를 궁중으로 피신시킨다.

강서 지방의 안찰(按察)을 마치고 돌아온 백경은 다시 연씨를 취한다. 궁중에서 돌아온 철 소저는 연씨의 현숙(賢淑)함을 보고, 연씨랑 자매처럼 의좋게 지낸다. 오왕 양씨 집안에서는 이를 기특하게 여기며 철 소저를 칭찬한다. 그리고 이제까지 온갖 음모(陰謀)를 꾸며 철 소저를 죽이려고 하던 위씨를 귀양 보내자 양씨 집안은 화평(和平)해진다.

한편, 오왕은 차남(次男) 희경을 위 승상(丞相)의 딸(위씨)과 혼인시킨다. 희경은 부인 위씨를 박대한다. 그리고 희경은 간악(奸惡)한 경씨를 취하여, 경씨만을 사랑한 나머지 경씨의 감언이설(甘言利說)을 곧이듣고 위씨를 내쫓는다. 경씨는 자기를 미워하는 시아버지 오왕을 죽이려다가 탄로(綻露)가 나서 쫓겨난다. 쫓겨났던 위씨는 돌아와서 남편에게 현숙한 설 소저를 취하게 하고, 함께 화평하고 즐겁게 산다.

이때 북해로 귀양 간 백경의 부인 위씨가 간부(姦夫)를 통해 북호(北胡)와 짜고, 대송을 멸하고 남편을 죽여 자신의 분한 마음을 풀고자 음모를 꾸민다. 그러자 주27로 있던 백경이 평북대원수가 되어 오랑캐를 격파하고, 자기 부인인 위씨를 잡아 죽이고 개선(凱旋)한다.

오왕의 장녀 봉화는 김 승상의 아들 문창과 혼인한다. 봉화는 첫째 부인 성 씨와 시어머니 성 태부인의 학대를 받으며 살던 중 잉태(孕胎)하여, 성 태부인과 성씨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아들을 낳는다. 성 태부인과 성씨는 봉화를 죽이려 할 뿐만 아니라, 김 승상 부자를 모함(謀陷)하여 귀양 보내고, 김 승상의 다른 부인인 유 부인마저 모해(謀害)하여 내쫓는다.

그 뒤 성씨가 성 태부인마저 학대하므로, 성 태부인이 성씨의 간악함에 대해 소(疏)를 올린다. 조정(朝廷)에서 두 사람을 유배시키려고 하자, 봉화가 성 태부인을 용서해 달라고 상소(上疏)한다. 이에 성 태부인이 비로소 뉘우친다. 이때 성씨는 김문창의 보배를 가지고 달아난다. 김 승상 부자도 유배지에서 돌아오니, 마침내 김 승상의 집안에 화평이 찾아온다.

오왕의 차녀(次女) 명화는 정비의 소생(所生)이다. 오왕이 친한 소 상서(尙書)에게 청혼하자, 소 상서의 아들 일계는 처음 결혼하며 맞이한 아내인 윤 부인을 두고 다시 양 소저와 결혼한다.

오왕의 다섯째 아들 중경은 문과(文科)와 무과(武科)에 모두 급제(及第)하고, 소 상서의 딸과 여 상서의 딸과 결혼한다. 김 귀비(貴妃)의 딸 문양공주가 궁중에 들어온 중경을 보고 반하여, 부왕(父王)을 움직여 중경을 부마(駙馬)로 삼아 달라고 한다. 중경은 황제의 명으로 또다시 문양공주와 혼인하나, 문양공주와 금실이 좋지 않다. 이에 마음이 간악한 문양공주는 소 부인과 여 부인을 제거할 음모를 꾸민다.

오왕의 셋째 딸은 유 승상의 아들 현광과 혼인한다. 현광을 미워하던 계모 형씨는 양 부인을 학대한다. 형씨는 현광 부부를 학대하던 끝에, 양 부인에게 독약을 먹인 후 양 부인을 궤(櫃)에 넣은 채 연못에 빠뜨린다. 현광은 꿈에서 지시를 받고 연못으로 달려가 아내를 건지고, 아내에게 해독약을 먹여 아내를 살려낸다.

형씨는 다시 형 귀비를 시켜 황제에게 현광 부부의 불효를 아뢰게 한다. 형씨는 현광이 금부(禁府)에 끌려간 사이에 또 양 부인에게 독약을 먹여 양 부인이 죽게 하고, 죽은 양 부인의 시신을 궤에 넣어 강물에 던지게 한다. 이때 중경이 보고 이상하게 여겨 그 궤를 빼앗아 깨뜨려 보니, 궤에 든 사람이 현광의 부인이자 자기의 누이인 양 부인이었다. 중경은 양 부인에게 해독제를 먹여 양 부인을 소생시킨다.

황제는 유 승상 집안의 가화(家禍)를 다스리지 못하고 있는데, 현광의 시동(侍童) 영학이 나타나 형씨의 음모를 고발한다. 황제는 형씨를 용서해 달라는 현광과 양 부인의 설득에도 불구하고 형씨를 멀리 유배 보낸다. 효성(孝誠)이 지극(至極)한 현광은 형씨를 유배지까지 모시고 가서 지성(至誠)으로 받든다. 형씨는 이듬해 봄에 사면(赦免)되어 집으로 돌아오고, 현광 부부의 지극한 효성에 감동하여 개과천선(改過遷善)하니 유 승상의 집안에도 평화가 온다.

오왕은 수많은 자녀의 혼사(婚事)를 끝내고 영화(榮華)를 즐기는데, 맏손자인 희정이 방탕(放蕩)한 생활을 하여 승상인 아버지를 괴롭힌다. 양 승상은 희정을 엄하게 타일러 충성과 효도에 힘쓰도록 한다. 희정은 마음을 잡고 상서 유현광의 딸과 혼인하는데, 부인과의 금실이 좋다. 희정은 이듬해 장원 급제(壯元及第)하여 주63가 되고, 아버지 양 승상의 뜻을 받들어 연 상서의 딸을 두 번째 부인으로 맞이한다. 그러나 희정은 두 번째 부인과의 금실이 좋지 못하다.

양 승상의 둘째 아들 희운은 재주가 뛰어나서 과거에 장원 급제하고 주64가 된다. 희운은 윤 승상의 딸과 혼인하고 다시 범 승상의 딸을 두 번째 부인으로 맞이한다. 황제의 귀비인 경씨는 양씨 집안과 원수진 일이 없는데, 희운 부부를 못살게 하기 위해 윤 부인을 음부(淫婦)로 몰아 귀양을 보낸다. 또한, 희운에게 형양공주를 취하게 한다. 형양공주는 심술이 사나운 여자로 윤 부인과 범 부인을 모두 제거할 음모를 꾸미다가 실패하고 착한 사람이 된다.

오왕은 80세까지 수(壽)를 누리다가 병들지 않고 세상을 떠난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중국 송대를 배경으로 오왕 양광효와 그의 아들 백경, 손자 희정 등 3대에 걸친 수많은 아들과 딸, 손자들의 혼인 과정에서 전개되는 다양한 사건을 서술하였다. 특히 주목할 점은 양인광의 아버지가 역적이었다는 점이다. 작품의 서두에서 오왕 양광효가 아버지인 양세를 만나는데, 양세는 자신이 반역죄로 인해 죽었기 때문에 양광효가 태사 양임의 아들(양세의 아버지이자 양광효의 할아버지)이 되었음을 알려 준다.

『양문충의록(楊門忠義錄)』은 『현몽쌍룡기(現夢雙龍記)』 · 『조씨삼대록(曺氏三代錄)』와 연작 관계에 있다. 이 세 작품의 주요 가문은 혼인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면서 세 작품은 각 작품 내에서 다른 작품을 언급하거나, 각 작품 내의 사건이 다른 작품에서 완결되는 등 긴밀(緊密)한 연관 관계를 보인다. 이 연작의 출발점인 「현몽쌍룡기」는 짜임새 있는 서사 구조(敍事構造)로 조씨 가문 내의 갈등을 통해 가문을 잘 다스리고 바로잡는 모습을 보여 준다. 반면, 「조씨삼대록」과 「양문충의록」은 서사를 확장시키면서 유사한 모티프를 반복적으로 서술한다. 이를 통해 두 작품은 이미 가문이 안정 · 번영(繁榮)된 조씨 가문과 반역자의 가문이라는 콤플렉스를 극복하며 가문을 확장하려는 두 가문을 대조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가문을 다스리고 바로잡는 문제를 가문 대 가문의 문제로 날카롭게 그리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연구』(교학사, 1983)
모리스 쿠랑, 『한국서지』(일조각, 1994)
임치균, 「<양문충의록> 해제 」(『양문충의록(楊門忠義錄)』 1, 장서각, 2011)

논문

강미선, 「<양문충의록> 연구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주석
주1

자세히 조사하여 살핌. 우리말샘

주2

손으로 써서 만든 책. 우리말샘

주3

문학 작품 따위에서 기본적인 내용은 같으면서도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책. 우리말샘

주4

정실인 왕비를 후궁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책. 우리말샘

주6

중국 주나라 때에, 무왕이 은나라 주왕의 서형(庶兄) 미자계(微子啓)에게 은나라 유민을 통치하게 하기 위하여 세운 나라. 상구에 도읍을 정하고 춘추 시대의 12제후의 하나가 되었으나, 기원전 286년에 제, 위, 초의 세 나라에 멸망하였다. 우리말샘

주7

중국 송나라의 제3대 황제(968~1022). 이름은 조항(趙恒). 태종의 셋째 아들로, 1004년 요나라가 쳐들어왔을 때에 직접 싸웠으나 굴욕적인 ‘전주(澶洲)의 맹(盟)’을 맺고 화의하였다. 재위 기간은 997~1022년이다. 우리말샘

주8

천지 만물을 생성하는 원천이 되는 기운. 우리말샘

주9

사람의 일생에서 초기, 곧 젊은 시절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0

사람의 한평생의 운수. 사주팔자에서 유래한 말로, 사람이 태어난 해와 달과 날과 시간을 간지(干支)로 나타내면 여덟 글자가 되는데, 이 속에 일생의 운명이 정해져 있다고 본다. 우리말샘

주12

‘아가씨’를 한문 투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3

인정 없이 모질게 대하다. 우리말샘

주14

아내의 친정 조카를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5

고려 시대에, 내명부 가운데 여관(女官)의 하나. 우리말샘

주16

여자의 마음이 어질고 정숙하다. 우리말샘

주17

나쁜 목적으로 몰래 흉악한 일을 꾸밈. 또는 그런 꾀. 우리말샘

주18

고려ㆍ조선 시대에, 죄인을 먼 시골이나 섬으로 보내어 일정한 기간 동안 제한된 곳에서만 살게 하던 형벌. 초기에는 방축향리의 뜻으로 쓰다가 후세에 와서는 도배(徒配), 유배(流配), 정배(定配)의 뜻으로 쓰게 되었다. 우리말샘

주19

화목하고 평온하다. 우리말샘

주20

둘째 아들. 우리말샘

주21

옛 중국의 벼슬. 우리나라의 정승에 해당한다. 우리말샘

주22

간사하고 악독하다. 우리말샘

주23

귀가 솔깃하도록 남의 비위를 맞추거나 이로운 조건을 내세워 꾀는 말. 우리말샘

주24

숨긴 일을 드러냄. 우리말샘

주25

간통한 남자. 우리말샘

주26

북쪽에 있는 오랑캐 나라. 우리말샘

주27

중국에서, 이부(吏部)의 으뜸 벼슬. 우리말샘

주28

예전에, 두만강 일대의 만주 지방에 살던 여진족을 멸시하여 이르던 말. 우리말샘

주29

싸움에서 이기고 돌아오다. 우리말샘

주30

아이나 새끼를 배다. 우리말샘

주31

나쁜 꾀로 남을 어려운 처지에 빠지게 하다. 우리말샘

주32

꾀를 써서 남을 해치다. 우리말샘

주33

임금에게 올리던 글. 우리말샘

주34

임금이 나라의 정치를 신하들과 의논하거나 집행하는 곳. 또는 그런 기구. 우리말샘

주35

오형(五刑) 가운데 죄인을 귀양 보내던 일. 그 죄의 가볍고 무거움에 따라 원근(遠近)의 등급이 있었다. 우리말샘

주36

임금에게 글을 올리다. 주로 간관(諫官)이나 삼관(三館)의 관원이 임금에게 정사(政事)를 간하기 위하여 올렸다. 우리말샘

주37

아주 귀하고 소중한 물건. 우리말샘

주38

둘째 딸. 우리말샘

주39

자기가 낳은 아들이나 딸. 우리말샘

주40

중국의 진나라 이래 천자와 신하 사이에 오가는 문서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벼슬. 이 벼슬이 점차 높아져서 당나라와 송나라 때에 중앙 정부의 수위(首位)에 앉아 육부의 장관이 되었다가 뒤에는 중앙 정부의 장관이 되었다. 우리말샘

주41

문관(文官)을 뽑던 과거. 제술(製述), 경서 강론(經書講論) 및 대책(對策) 따위를 시험 보았는데, 초시(初試)ㆍ복시(覆試)ㆍ전시(殿試)의 세 단계가 있었다. 우리말샘

주42

고려ㆍ조선 시대에, 무관을 뽑던 과거. 무예와 병서를 시험 보았는데, 삼 년에 한 번씩 정규적으로 실시하는 식년 무과와 수시로 실시하는 증광시ㆍ별시ㆍ알성시ㆍ정시ㆍ춘당대시 따위의 각종 비정규 무과가 있었다. 응시 자격에 특별한 제한이 없어서 천인도 면천(免賤)의 절차를 밟아 응시할 수 있었다. 우리말샘

주43

시험이나 검사 따위에 합격하다. 우리말샘

주44

중국 당나라 때에, 후궁에게 주던 칭호. 우리말샘

주45

왕자나 공주가 자기의 아버지인 임금을 이르던 말. 또는 다른 사람이 왕자나 공주의 처지에서 아버지인 임금을 이르던 말. 우리말샘

주46

임금의 사위. 우리말샘

주47

부부간의 사랑. 우리말샘

주48

물건을 넣도록 나무로 네모나게 만든 그릇. 우리말샘

주49

조선 시대에, 임금의 명령을 받들어 중죄인을 신문하는 일을 맡아 하던 관아. 왕족의 범죄, 반역죄ㆍ모역죄 따위의 대죄(大罪), 부조(父祖)에 대한 죄, 강상죄(綱常罪), 사헌부가 논핵(論劾)한 사건, 이(理)ㆍ원리(原理)의 조관(朝官)의 죄 따위를 다루었는데, 고종 31년(1894)에 의금사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50

거의 죽어 가다가 다시 살아남. 우리말샘

주51

집안에 일어난 재앙. 우리말샘

주52

귀인(貴人) 밑에서 심부름을 하는 아이. 우리말샘

주53

마음을 다하여 부모를 섬기는 정성. 우리말샘

주54

더할 수 없이 극진하다. 우리말샘

주55

지극한 정성. 우리말샘

주56

죄를 용서받아 형벌이 면제되다. 우리말샘

주57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됨. 우리말샘

주58

지난날의 잘못이나 허물을 고쳐 올바르고 착하게 되다. 우리말샘

주59

혼인에 관한 일. 우리말샘

주60

몸이 귀하게 되어 이름이 세상에 빛남. 우리말샘

주61

1929년 제정 러시아 태생의 무용가이자 안무가 발란친이 안무한 단막 발레 작품. 성경에 나오는 이야기로, 아버지를 떠나 방탕한 생활을 하다 모든 것을 잃고 참회하며 다시 돌아오는 아들의 이야기를 소재로 하고 있다. 우리말샘

주62

과거에서, 갑과의 첫째로 뽑히던 일. 우리말샘

주63

중국 당나라 때에, 한림원에 속하여 조칙의 기초를 맡아보던 벼슬. 우리말샘

주64

고려 시대에, 보문각, 문덕전, 집현전, 수문전 따위에 둔 종이품 벼슬. 우리말샘

주65

성격이나 행동이 음란하고 방탕한 여자. 우리말샘

주66

이미 정하여져 있어 인간의 힘으로는 어쩔 수 없는 천운(天運)과 기수(氣數). 우리말샘

주67

오래 삶. 오복의 하나로 장수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68

자기 나라나 민족, 통치자를 반역한 사람. 우리말샘

주69

한 작가가 같은 주인공의 단편 소설을 몇 편 써서, 그것을 연결하여 장편으로 만드는 일. 또는 그런 작품. 우리말샘

주70

서로의 관계가 매우 가까워 빈틈이 없다. 우리말샘

주71

시간의 흐름에 따른 행위의 연속과 그로 인해 만들어지는 사건들이 결합하여 하나의 이야기를 전개해 가는 방식. 우리말샘

주72

반복하여 나타나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낱말ㆍ문구ㆍ내용을 이르는 말. 설화에서 반복하여 등장하는 이별한 임이나 서양 동화의 요술 할머니 또는 미녀 따위를 예로 들 수 있다. 우리말샘

주73

번성하고 영화롭게 됨. 우리말샘

주74

현실적인 행동이나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무의식의 감정적 관념. 융은 언어 연상 시험을 통하여 특정 단어에 대한 피검자의 반응 시간 지연, 연상 불능, 부자연스러운 연상 내용 따위가 이것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하였다. 우리말샘

주75

반역 행위를 하여 성립하는 죄.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