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씨청행록 ()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내용 요약

「소씨청행록」은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책의 말미에 '다음 회를 보라' 한 점 등으로 미루어 회장체(回章體) 대하소설 일부가 한 책만 남은 것으로 보인다. 작품의 내용을 살펴보면 소한림을 두고 상원부인 설씨와 재취인 윤씨 사이에서 일어나는 소한림의 애정을 독점하고자 하는 쟁총형(爭寵型) 가정소설의 서사가 보인다. 본처가 간악한 인물로 설정되어 있는 점은 「옥환기봉」, 「소현성록」 등과 비슷하다. 원작은 처와 사혼처 사이의 갈등을 다룬 「소문록」 계열의 작품일 가능성이 있다.

목차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서지사항

1권 1책. 한글 필사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권말에 ‘을사(乙巳) 지월(至月) 십구일’이라 되어 있어, 필사 일자만 알 수 있을 뿐이다.

내용

소 상서(蘇尙書)의 생일날에 집안에서 큰 잔치를 베푸는데, 셋째 아들 소한림(蘇翰林)의 상원부인 설씨가 그녀의 유모 한파와 공모하여 재취 윤씨가 상서에게 올리는 주합(酒盒)을 열고 독약을 풀어 넣는다.

윤씨가 차린 음식과 새로 담근 비자술을 올리다가 술빛이 이상하고 독한 냄새가 나는지라 땅에 쏟으니 푸른 불이 일어났다. 소한림이 윤씨와 시비 취선 등을 잡아 문초하려는데 상서는 윤씨의 현숙함과 지극한 효경에 감동한 바 있으므로 용서한다.

설씨는 다시 변심환(變心丸)을 음식에 타 한림과 상서에게 먹여 총명한 정신을 잃게 한다. 한림은 이로부터 마음이 변하여 윤씨를 대하기 싫어하고 봉운당의 설씨 침소를 찾으며 그녀의 음란한 뜻에 따르게 되었다. 상서도 세상일을 모르는 사람같이 하자, 집안 사람들은 이상히 여기지만 원인을 알지 못했다.

하루는 설씨가 개용단(改容丹)을 먹고 진생(진유백)의 모습이 되어 한림 삼 형제가 있는 취운각에 들어가 심심풀이로 이야기를 하고 돌아왔다.

한림이 진생이 떨어뜨린 금낭을 주워보니 윤씨의 필적으로 진생에게 보낸 편지였다. 4월 15일 시아버지의 생일에 술에 독을 타서 부자를 죽이고 두 사람이 함께 뜻을 이루고자 한다는 내용이었다. 이를 읽고 난 한림이 상서에게 고하고 윤씨를 후원의 초실에 가두게 된다.

또, 어느날 봉운당에 윤씨가 나타나 철편으로 설씨를 때리다가 한림이 나타나자 도주하였는데, 같은 시각 한림이 봉운당에 간 사이 학사 형제에게 나타나 발악하며 욕하였다. 사실은 한패와 영복이 개용단을 먹고 저지른 일이었다. 이 일로 윤씨는 자기 집으로 폐출되었다.

설씨는 후환을 없애기 위하여 한패와 공모하여 남문 밖에 사는 설연창에게 부탁하여, 마침 윤 상서 부자가 고향에 간 틈을 이용해서 윤씨를 잡아다가 부인을 삼으라고 하였다.

설연창이 윤씨와 취선을 함께 잡아와 자신의 유모인 석패에게 비밀리에 부탁을 하였는데, 석패는 윤씨의 내력과 사람됨을 듣고 이들을 도망가게 한다. 연창이 이들을 뒤쫓자 두 사람은 강에 투신한다.

한편, 한림은 변심환의 약효가 떨어짐에 따라 윤씨의 일에 의혹을 가지기 시작한다. 윤씨의 몸종인 취옥은 윤씨가 폐출될 때 따라가지 않고 설씨와 가까이 하여 허실을 알아내고 윤씨의 누명을 벗기고자 하였다.

그러던 어느날 우연히 설씨 방의 창 밑에서 설씨가 한패와 나누는 이야기를 엿듣게 되어 사건의 전모를 알게 되었다. 이에 원정을 써서 형부아문(刑部衙門)에 가서 글을 올리니 형부의 엄 상서가 이를 알고 모두 잡아들인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의 윤씨의 방에 도둑이 드는 사건과 진생의 필적이 윤씨방에서 발견되는 사건은 이미 이전에 서술된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결말이 완전히 끝나지 않은 채 책의 말미에 '다음 회를 보라' 한 점 등으로 미루어 회장체(回章體) 대하소설(大河小說)의 일부가 한 책만 남은 것으로 보인다.

작품을 내용을 살펴보면 소한림을 두고 상원부인 설씨와 재취인 윤씨 사이에서 일어나는 소한림의 애정을 독점하고자 하는 쟁총형(爭寵型) 가정 소설의 서사가 보인다. 본처가 간악한 인물로 설정되어 있는 점은 「옥환기봉」, 「소현성록」 등과 비슷하다. 그리고 요약(妖藥)을 이용한 변신 모티프를 차용하고 있는 점 또한 독특한데 이는 대하소설에서 주로 등장하기 때문에 회장체 소설의 일부분이란 추측에 설득력을 더한다. 원작은 처와 사혼처(賜婚妻) 사이의 갈등을 다룬 「소문록(蘇門錄)」 계열의 작품일 가능성이 있다.

참고문헌

논문

박순임, 「사씨남정기와 소씨전의 대비」(『고전문학연구』 3, 고전문학회, 1986)
심경호, 「조선후기소설고증1- 포공연의, 성풍류, 왕경룡전, 소씨직금회문도, 소씨명행록」(『한국학보』 56, 일지사, 1989)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