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풍운전 ()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이칭
이칭
금선각(金僊覺), 장두영전
내용 요약

「장풍운전(張風雲傳)」은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영웅 장풍운의 일대기를 그리고 있다. 양반이 광대로 전락된다든지, 상인의 활동이 부각된다는 관점에서 영웅소설의 해체기에 속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많은 한글 이본들이 존재하며 특히 한문본 「금선각(金仙覺)」이 전하는 점이 독특하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구성 및 형식

1책. 국문 필사본 · 목판본 · 활자본 · 필사본 등이 고루 존재한다. 필사본은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 나손문고본(구 김동욱 소장) 등 30여 종이 전하고 있다. 목판본 중 경판본은 연세대학교 도서관, 완판본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한문으로 된 이본이 「금선각(金仙覺)」이라는 제목으로 전한다.

경판본은 31장본 ·29장본 ·27장본 등 3종류가 간행되었고, 완판본은 55장본(앞뒤 1장씩 낙장) ·45장본 ·36장본 등이 전한다. 활자본은 1916년 한성서관, 1918년 박문서관 등에서 간행되었다. 내용은 거의 비슷하나, 완판본이 경판본보다 내용이 덧붙어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이 밖에 유사본으로 박순호(朴順浩)가 소장하고 있는 필사본 「장두영전(張斗英傳)」이 있는데, 이것은 인명과 지명이 약간 다를 뿐이다. 일본인 소전기오랑(小田畿五郞)이 지은 「상서기문(象胥記聞)」(1794년)에 조선에서 읽히고 있는 소설의 하나로 이 작품의 이름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창작 시기는 1794년(정조 18) 이전으로 추정된다.

한문본 「금선각」의 저자로 신경원(申景源)이 거론되며 이 한문본을 장풍운계 소설군의 선본일 것으로 추측하기도 한다.

내용

중국 송나라 때, 장풍운은 금릉 땅에서 전임 이부 시랑 장회와 부인 양씨가 나이가 들어 낳은 아들이다. 풍운이 어렸을 때 가달이 침략해 오자 장 시랑이 출전한다. 양 부인은 때마침 일어난 도적을 피하다 아들 풍운을 도적에게 빼앗기고 단원사(丹圓寺)에 들어가 여승이 된다. 장시랑은 승전하고 돌아와 부남태수에 임명되지만 가족을 만날 수 없어 슬퍼한다.

한편, 풍운은 도적들이 패하여 도망갈 때 버리고 가지만 통판 이운경(李雲卿)에게 발견되어 그 집에서 양육된다. 이운경에게는 전처 소생인 경패 · 경운 남매와 후처 호씨(胡氏)의 자식들이 있는데, 호씨는 전처 자식들을 학대한다. 이운경이 풍운과 경패를 혼인시키고 죽자 호씨의 학대가 더욱 심해진다.

풍운은 장인의 유서에 따라 처남 경운만을 데리고 가출한다. 곧이어 경패도 집을 나와 떠돌다가 아버지가 꿈에 나타나 지시한대로 단원사에 들어가 시어머니 양씨와 만난다.

풍운은 경운을 금산사에 맡겨두고 광대패를 따라다니다가 전임 이부상서 왕공렬을 만나 의지한다. 풍운은 왕 상서의 심부름으로 황성에 가서 대상인 원철을 방문한다. 그곳에서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한림학사가 되고, 원철의 딸 황해와 혼인하며, 이어 왕 상서의 딸 부용과도 혼인한다.

이때, 서번과 서달이 침략해 오자, 풍운은 대원수로 출전하여 물리친다. 회군하는 길에 꿈에 나타난 노승의 말에 따라 단원사에서 어머니, 경패와 상봉한다. 그리고 경운을 데리고 호씨를 찾아가 양육해 준 은혜를 갚는다. 이어서 부친과도 상봉하고 공주와 혼인한다. 이때 다시 토번의 침입으로 풍운이 출전하자 공주인 유씨 부인이 이씨 부인을 투기하여 꾀를 써서 이씨 부인을 해한다. 결국 진상이 밝혀져 유씨 부인은 벌을 받아 죽고, 장 승상은 그뒤 위왕이 되어 부귀영화를 누린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양반이 광대로 전락된다든지, 상인의 활동이 부각된다는 관점에서, 영웅소설의 해체기에 속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에서 드러나고 있는 혼인은 비현실적인 요소가 많다. 이운경이 근본도 모르는 장풍운을 사위로 삼는 것과 왕공렬이 광대로 떠돌던 장풍운을 사위로 삼는 것은 당시 조선의 신분의식으로서는 납득하기 어렵다. 그러나 이는 당시 신분 제도의 변화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주인공 장풍운은 당시 평민 이하 계층의 처지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만 신분의 상승과 회복을 주된 관심사로 삼고 있으면서도 문제를 비현실적 차원에서 해결하는 것이 한계점으로 나타난다.

참고문헌

단행본

서대석,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5)
이창헌, 「장풍운전」(『한국고전소설작품론』, 집문당, 1990)
조동일, 「영웅소설작품구조의 시대적 성격」(『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77)

논문

강문종, 「금선각 이본연구」(『한국학』 28,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김준형, 「<장풍운전> 異本攷(이본고) ―한문본 <금선각>을 중심으로―」(『우리어문연구』 45, 우리어문학회, 2013)
박일용, 「영웅소설의 유형변이와 그 소설사적 의의」(『국문학연구』 62, 서울대학교대학원국문학연구회, 1983)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