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환기봉 ()

목차
관련 정보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내용 요약

「옥환기봉」은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이 작품은 중국 후한 시대 광무제의 한실 부흥과 곽후 폐출 사건 등의 역사적 사건을 다루고 있는데, 작가는 곽후가 폐위되고 음후가 황후가 된 원인을 역사 기록인 『후한서』와 소설인 「동한연의」를 참조하여 창작하였다. 이 작품은 작가가 역사의 공백을 메운다는 뚜렷한 작가 의식을 가지고 창작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목차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개설

국문 필사본(筆寫本). 장편본인 규장각본은 30권 15책으로 되어 있고,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조동일(趙東一)이 소장하고 있는 단편본은 2권 2책으로 되어 있다.

하늘이 인연을 정해 준 남녀 주인공이 결연(結緣)을 성취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장편본은 인물의 선악(善惡) 구분이 비교적 불분명하며, 여성 인물의 활약이 두드러진다. 이에 반해 단편본은 인물의 선악 구분이 매우 확실하고, 가문 의식(家門意識)과 불교 배척(排斥) 등 유교 이념(理念)이 강화된 면모를 보여 준다.

내용

한 세조 무황제의 태자(太子)는 간신(奸臣)의 모함(謀陷)으로 태자비(太子妃) · 태손(太孫) 부부와 함께 억울하게 자결(自決)하게 된다. 한나라 황실의 후예인 유음은 연과 수 형제를 낳았다. 수는 10여 세가 되었을 무렵의 어느 날 벗을 찾아 성 밖에 나갔다가 날이 저물어 한 집에 이른다. 그곳에서 그는 어떤 노인으로부터 자신이 옛날에 억울하게 죽은 태자의 환생이며, 후일 주14으로 태자비를 만나게 되리라는 이야기를 듣는다.

유음은 병이 들어 죽으면서 수에게 한나라 황실을 다시 일으키라는 유언을 남긴다. 수가 27세가 되자 모 부인은 수에게 곽 공의 딸을 취하게 한다. 수는 곽 씨를 사랑하나, 마음속에 옥환으로 맺어질 인연이 있어 기뻐하지 않는다.

이때, 주81이 스스로를 신황제라 칭하고 나라를 어지럽힌다. 이에 수와 연 형제는 경시황제를 도와, 장군들을 거느리고 나아가 남정북벌(南征北伐)의 공을 세우니 민심(民心)이 수와 연 형제에게 돌아간다. 형제의 이름이 날로 높아지자, 경시황제는 이를 경계하여 연을 죽인다. 이에 민심은 더욱 수에게 기울어지니, 경시황제는 수를 장군에 임명하고 주21을 평정(平定)하게 한다.

수는 하북을 평정하고 돌아오는 길에 오색 채운(彩雲)에 휩싸인 한 집을 찾아 들어가, 집주인 음 공의 딸이 하늘이 옥환으로 맺어 준 인연임을 알게 된다. 수는 뒷날을 기약(期約)하고 돌아와 왕망의 군사를 물리친다.

수가 돌아오니, 장군들은 수에게 임금의 자리에 오르기를 청한다. 처음에 수는 이를 허락하지 않다가 마침내 임금의 자리에 오른다. 그러자 경시황제는 달아나 버리고 천하는 안정되고 평안해진다.

임금이 된 수는 음 공을 주30에 임명하고, 옥환의 인연을 이루고자 음 공의 딸을 귀인(貴人)에 봉한다. 그러나 음 상서와 음 소저(小姐)는 임금이 된 수가 옥환으로 맺어질 인연임을 모른 채, 옥환의 인연을 어기게 되는 것을 한탄하며 수의 명령을 거부한다.

수가 이를 알고 음 공에게 옥환을 보내니, 음 소저와 수가 하늘이 정해 준 인연이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수는 귀인이 된 음 소저를 왕비로 삼아야 한다고 여기지만 때를 기다리기로 하고, 음 소저를 극진히 사랑한다.

이 때문에 황후(皇后) 곽 씨는 둘 사이를 질투하여 귀인 음 소저를 죽이고자 하나 실패하고, 황 태후(太后)를 움직여 음 소저를 별실(別室)에 가두게 한다. 임금 수가 이로 인한 슬픔으로 병이 나자, 태후는 할 수 없이 음 소저를 풀어 준다. 음 소저는 황자(皇子) 양을 낳는다. 황후 곽씨는 다시 꾀를 내어 동궁(東宮)과 정궁(正宮)에 저주를 내리는 물건을 묻고, 귀인 음 소저의 아들인 경왕을 죽이고 모든 것을 음 소저에게 덮어씌운다. 태후는 보모(保姆) 윤씨의 거짓 자백을 믿고 음 소저를 유배지로 멀리 귀양 보낸다.

태후와 수의 꿈에 죽은 경왕이 나타나, 자신의 원한(怨恨)을 풀어줄 것을 호소한다. 태후는 황후 곽씨의 죄악(罪惡)을 안다. 하지만 곽씨가 태자의 어머니이고, 과거에 곽씨와 서로 사랑했던 정 때문에 태후는 곽씨를 폐위하지 못한다. 태후가 귀인을 다시 불러들이자, 황후는 귀인을 물속에 들어가게 한다. 귀인은 용왕(龍王)의 도움으로 재생하여 후원(後苑) 온실(溫室)에서 숨어 지낸다.

그러나 황후는 날이 갈수록 투기심이 심해져서 후궁들을 죽인다. 이전에 있었던 황후의 죄가 드러나자, 조정(朝廷) 대신들은 임금에게 황후를 폐하기를 청하는 상소를 올린다. 태후와 수는 황후를 폐하고 귀인을 정궁(正宮)에 봉한다. 태자 강이 동궁의 자리를 사양하니, 태후와 수는 양을 태자에 봉한다. 천자와 황후는 영화(榮華)를 누리다가 같은 날 같은 시각에 함께 세상을 떠난다.

의의와 평가

이 소설은 고전소설에서는 드물게 왕실을 배경으로 하여 정비인 황후와 후비(后妃)인 음 귀인 간의 갈등을 그리고 있다. 대체로 적자(嫡子)와 정실(正室)은 언제나 선(善)의 입장에 서고, 서자(庶子)와 후실(後室)은 악(惡)의 입장에 서는데, 이 소설에서는 이것이 뒤집혀 나타나는 것이 특색이다. 그 원인은 주인공 유수(劉秀)의 천정연분이 후비인 음 귀인으로 설정된 데에 있다.

군신(君臣) 간의 관계에서 억울하게 죽은 선 태자의 환생인 유수가 경시황제를 물리치고 황제가 되는 것도 하늘의 뜻이기는 하지만, 이는 다른 고전소설에서도 드물게 볼 수 있는 내용이다.

이 소설은 군신 관계 · 처첩(妻妾)] 관계에 있어서 새로운 측면을 보여 주는데, 이것은 하늘의 이치(理致)를 실현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태자 부부와 태손 부부가 환생을 통하여 전생의 억울한 한(恨)을 풀고, 전 태자비와 연분을 반드시 맺는 것은, 이 소설이 현실주의(現實主義)에 바탕을 둔 인간의 적극적인 의지를 긍정적으로 생각함을 보여 준다.

이 소설의 작가는 곽후 폐출 사건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다루면서 역사 기록인 주79와 소설인 「동한연의」를 참조하였다. 곽후가 폐위되고 음후가 황후가 된 원인은 『후한서』에 매우 간략히 언급되어 있다. 작가는 이 짧은 기록을 토대로 상상력을 발휘하여, 역사의 공백을 메운다는 뚜렷한 작가 의식을 가지고 소설을 창작한 것이다.

특히 한국의 고소설사에서 17세기 말부터 관측되기 시작한 중국 역사 수용이라는 창작 방식을 보여 주는 대표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연구』(교학사, 1981)

논문

구선정, 「〈옥환기봉〉의 인물 연구 : 역사 인물의 소설적 재현」(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임치균, 「18세기 고전 소설의 역사 수용 일양상 : 〈옥환기봉〉을 중심으로」(『한국고전연구』 8, 한국고전연구학회, 2002)
주석
주1

손으로 써서 만든 책. 우리말샘

주3

인연을 맺음. 또는 그런 관계. 우리말샘

주5

어떤 가문에 속하여 있다는 연대감이나 집단의식. 우리말샘

주6

따돌리거나 거부하여 밀어 내침. 우리말샘

주8

자주국에서, 임금의 자리를 이을 임금의 아들. 우리말샘

주9

육사신의 하나. 간사한 신하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10

나쁜 꾀로 남을 어려운 처지에 빠지게 함. 우리말샘

주11

황태자의 아내. 우리말샘

주12

황제의 자리를 이어받을 황제의 손자. 우리말샘

주13

의분을 참지 못하거나 지조를 지키기 위해 스스로 목숨을 끊다. 우리말샘

주14

옥으로 만든 가락지. 우리말샘

주18

남쪽을 정복하고 북쪽을 토벌함. 우리말샘

주19

백성의 마음. 우리말샘

주21

중국 황허강(黃河江) 북쪽 지역을 통틀어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허베이’이다. 우리말샘

주22

반란이나 소요를 누르고 평온하게 진정하다. 우리말샘

주23

여러 가지 빛깔. 우리말샘

주24

상서로운 구름. 우리말샘

주26

때를 정하여 약속하다. 우리말샘

주30

중국에서, 이부(吏部)의 으뜸 벼슬. 우리말샘

주31

조선 시대에, 왕의 후궁에게 내리던 종일품 내명부의 품계. 빈의 아래이다. 우리말샘

주32

‘아가씨’를 한문 투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3

원통하거나 뉘우치는 일이 있을 때 한숨을 쉬며 탄식하다. 우리말샘

주35

하늘이 정하여 준 연분. 우리말샘

주37

황제의 정실(正室). 우리말샘

주39

황제의 살아 있는 어머니. 우리말샘

주40

특별히 따로 마련된 방. 우리말샘

주41

황제의 아들. 우리말샘

주42

‘태자궁’이나 ‘세자궁’을 달리 이르던 말. 태자나 세자가 거처하는 곳이 궁궐의 동쪽에 있던 데서 유래한다. 우리말샘

주43

황후나 왕비를 후궁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4

왕이 거처하고 정사를 보던 궁궐. 우리말샘

주47

고려ㆍ조선 시대에, 죄인을 먼 시골이나 섬으로 보내어 일정한 기간 동안 제한된 곳에서만 살게 하던 형벌. 초기에는 방축향리의 뜻으로 쓰다가 후세에 와서는 도배(徒配), 유배(流配), 정배(定配)의 뜻으로 쓰게 되었다. 우리말샘

주48

억울하고 원통한 일을 당하여 응어리진 마음. 우리말샘

주49

죄가 될 만한 나쁜 짓. 우리말샘

주52

왕이나 왕비 등의 자리를 폐함. 우리말샘

주53

대궐 안에 있는 동산. 우리말샘

주55

바다에 살며 비와 물을 맡고 불법을 수호하는 용 가운데의 임금. 우리말샘

주56

일정한 날을 기준으로 한 바로 앞 날. 우리말샘

주57

임금이 나라의 정치를 신하들과 의논하거나 집행하는 곳. 또는 그런 기구. 우리말샘

주59

황후나 왕비를 후궁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62

임금의 아내. 우리말샘

주63

정실이 낳은 아들. 우리말샘

주64

‘본처’를 달리 이르는 말. 원래 본처가 주로 거처하는 공간을 뜻하는 말에서 유래한다. 우리말샘

주65

양반과 양민 여성 사이에서 낳은 아들. 우리말샘

주66

남의 후처를 높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72

임금과 신하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73

아내와 첩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76

현실의 조건이나 상태를 그대로 인정하며 그에 입각하여 사고하고 행동하는 태도. 우리말샘

주77

대상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능동적인.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78
주79

중국 남북조 시대에, 송나라의 범엽(范曄)이 펴낸 후한의 정사(正史). 중국 이십오사(二十五史)의 하나로, 기전체를 썼고 본기(本紀) 10권, 열전(列傳) 80권, 지(志) 30권으로 되어 있다. 양나라의 유소(劉昭)가 보충하였고, 지(志)는 진나라의 사마표(司馬彪)가 지었다. 120권. 우리말샘

주80

작가가 가지고 있는 태도나 사상. 또는 작가로서 가져야 하는 태도나 사상. 우리말샘

주81

중국 전한의 정치가(B.C.45~A.D.23). 자는 거군(巨君). 자신이 옹립한 평제(平帝)를 독살하고 제위를 빼앗아 국호를 신(新)으로 명명하였다. 한(漢)나라 유수(劉秀)에게 피살되었다. 재위 기간은 8~23년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