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난기

목차
관련 정보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옥난기」는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한글 필사본으로, 전체 20권 중 권20만이 남아 있다. 전반부는 낙선재본 「옥난기연」의 내용과 같다. 후반부의 내용은 ‘하노공’의 가문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나 어떤 작품인지 명확히 알 수 없다.

목차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구성 및 형식

한글 필사본. 전체 20권 중 권20만이 단국대학교 율곡도서관 나손문고에 소장되어 전한다. 흘림체 한글로 방언(方言) 표기가 있다.

권20의 전반부는 낙선재본 「옥난기연」 권16과 일부분이 일치하나, 후반부에는 ‘하노공’에 관한 소설의 끝부분이 붙어 있다. 따라서, 이 「옥난기」는 둘 이상의 별개의 소설을 조합하여 만든 민간(民間) 유통본이었던 듯하다.

이 소설은 가문의 훌륭한 덕(德)을 칭송(稱頌)하고 부창부수(夫唱婦隨) · 상경상화(相敬相和)하는 부부 예절을 드러내어 찬양하였으며, 승순군자(承順君子) · 효양구고(孝養舅姑)하는 부녀자(婦女子)의 덕행(德行)을 강조하였다.

20권의 후반은 하노공의 자녀인 팔룡(八龍)의 설화(說話)를 기록한 것인데, 이 소설의 후속편으로 팔룡 자녀의 「별전」과 「북평록」이 있다고 적고 있다. 하노공의 팔룡 자녀의 설화를 그린 소설은 서울대학교 소장본 「옥원재합기연(玉鴛再合奇緣)」 권12 표지 안쪽에 기록된 소설 목록의 「하각노별곡」과 관계가 있는 듯하다. 「북평록」에 대하여 그 밖에 언급된 기록은 찾지 못하였다.

내용

이 작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위달의 난을 평정(平定)하러 갔다가 적의 요술(妖術)에 걸려 병이 들었던 진청운이 양주에서 죽었다는 소식이 들려오자, 장추성은 그의 운세(運勢)가 아직 다하지 않았다고 여기며 양주로 간다.

이미 양주에 와 있던 진 학사(學士)와 진 소저(小姐)는 정성을 다하여 아버지의 병을 간호하나 효험(效驗)이 없다. 이때 장추성이 와서 진 소저를 살리고, 홀연 태향산 암 도사가 동자(童子)를 보내 진청운을 회생(回生)시킨다.

진청운 · 장추성 두 원수(元帥)가 경사(京師)에 돌아오자, 천자(天子)는 삼군(三軍)을 표창하고 진청운을 위국공에 봉한다. 진 소저는 장씨 집안에 돌아와 남편 장추밀과 다시 만난다. 얼마 뒤 4월 10일, 장각노의 생일에 천자는 장추성에게 효문정충 위헌왕의 옥비를 새겨 보내니 집안이 모두 행복하게 지낸다. 그 뒤 장 사마(司馬)의 셋째 아들 계성이 왕현의 딸과 혼인한다.

하씨의 여덟째 아들 태자소부(太子少傅) 경안이 부인 소씨를 다시 맞아들여 부부가 행복하게 산다. 이후 하노공의 여덟 아들 경임 · 경화 · 경현 · 경연 · 경양 · 경한 · 경효 · 경안과 세 딸이 모두 영화(榮華)롭게 살며, 그들의 자손이 번성한다.

참고문헌

논문

김강은, 「<창란호연록>의 세대 갈등 연구」(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김정녀, 「『창란호연록』의 문제적 인물과 혐오의 시선들」(『한국학연구』 58,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김태영, 「『하진양문록(河陳兩門錄)』에 나타난 여성영웅소설 화소의 활용과 그 의미」(『우리어문연구』 57, 우리어문학회, 2017)
최길용, 「「창란호연록(昌蘭好緣錄)」연작 연구 - 「창란호연록(昌蘭好緣錄)」과 「옥란기연(玉蘭奇緣)」의 작품적 연계성을 중심으로 -」(『古典文學硏究』 7, 한국고전문학회, 1992)
장시광, <하진양문록>에 나타난 여성영웅의 정서와 이중적 정체성 - 장르 결합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 , (『溫知論叢』 49, 온지학회, 2016)
한길연, 「대하소설의 의식성향과 향유층위에 관한 연구 : <창란호연록>·<옥원재합기연>·<완월회맹연>을 중심으로」(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