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 은해사 운부암 금동 보살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영천 은해사 운부암 금동보살좌상
영천 은해사 운부암 금동보살좌상
조각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은해사에 있는 조선전기 에 조성된 동조도금 불상.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영천 은해사 운부암 금동보살좌상(永川 銀海寺 雲浮庵 金銅菩薩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금속조/보살상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9년 07월 30일 지정)
소재지
경북 영천시 청통면 청통로 951, 은해사 (치일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은해사에 있는 조선전기 에 조성된 동조도금 불상.
내용

1969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102㎝. 화려한 보관 및 복잡한 장신구가 돋보이는 아담한 크기의 보살상이다. 특히 굴곡없는 편평한 몸, 안정된 자세, 눈꼬리가 올라간 갸름한 얼굴 등은 1395년 제작한 영덕 장륙사 건칠관음보살좌상(보물, 1989년 지정), 문경 대승사 금동관음보살좌상(보물, 1989년 지정), 상주 갑장사 금동보살좌상(호림박물관 소장) 등의 경상북도 불상들과 유사하다. 심지어 크기라든가 손 모양도 거의 같아 이들은 지방 유파의 특색을 암시해준다는 점에서도 매우 흥미롭다.

한편 띠주름식의 삼도(三道), 가슴 아래 수평으로 입은 내의와 띠 매듭의 표현, 다리 위로 흐르는 대칭된 옷주름 등은 장륙사 건칠관음보살좌상보다는 진전되고, 대승사나 갑장사의 금동관음보살좌상보다는 앞 시대의 특징을 보이는 15세기 중엽경의 단엄한 보살상이다. 조선 초에 대두된 감투 모양의 높은 보관과 장신구는 1447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구 파계사 건칠관음보살좌상(보물, 1989년 지정)과 비교된다.

자료가 희귀한 조선 초의 우수한 보살상으로 높이 평가된다.

참고문헌

『국보』2 금동불·마애불(황수영 편, 예경산업사, 198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