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계문집 ()

이계문집
이계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황도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5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황도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5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65년(고종 2) 황도익의 5대손 황기우(黃基宇)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허전(許傳)·이상희(李相羲)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장석신(張錫藎)과 황기우, 17대손 황수청(黃洙淸)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5권 2책. 목활자본. 고려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에 시 94수, 권2에 서(書) 10편, 권3에 잡저 10편, 권4에 뇌사(誄詞) 7편, 제문 7편, 가장 3편, 권5에 언종록(言終錄)·여문인지구결별(與門人知舊訣別)·거가잡의십이훈(居家雜儀十二訓), 부록으로 시 4수, 서(書) 15편, 기 1편, 상량문 1편, 만사 84수, 제문 24편, 행장, 묘갈명, 사림정포천서(士林呈褒薦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의 「독중용십이절(讀中庸十二絶)」은 『중용』을 읽고 지은 것으로, 성도교(性道敎)·달도(達道)·이기(理氣) 등 12조목을 설명하였다. 서(書)는 당시 유학자 김상정(金尙鼎)·김성탁(金聖鐸)과 문답한 것이 대부분이다. 저자는 이(理)의 자발적인 동정을 강조하여 이가 발하면 기(氣)가 따르는 것이 태극의 양동음정(陽動陰靜)과 같다며 주리적(主理的)인 이황(李滉)의 학설을 주장하였다.

잡저의 「성천강의(聲川講義)」·「무극태극도설(無極太極圖說)」·「미발이발변(未發已發辨)」 등은 후학을 위해 『주역(周易)』과 『사서(四書)』에서 태극과 이기에 관한 중요한 내용을 뽑아 설명을 부기한 것이다. 「거가잡의십이훈」은 관혼상제·절일제(節日祭)·봉친(奉親)·제가(齊家)·처족(處族)·접빈(接賓)·처린(處鄰)·처향(處鄕)·범훈(凡訓) 등 12항목을 열거하여 그 실천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 것이다.

그밖에 남해에 있는 금산을 유람하면서 그 풍경을 기술한 「금산유행기(錦山遊行記)」와 「두류산유행록(頭流山遊行錄)」, 성천에 은거할 때 기록한 「성천둔와기(聲川遯窩記)」가 있다.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