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덕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집의, 교리, 보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백소(伯邵)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62년(현종 3)
사망 연도
1724년(경종 4)
본관
용인(龍仁)
주요 관직
사간|집의|교리|보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집의, 교리, 보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백소(伯邵). 형조참판 이후산(李後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대사헌 이사경(李士慶)이다. 아버지는 이두악(李斗岳)이며, 어머니는 이상진(李尙眞)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05년(숙종 31)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설서를 거쳐 사서(司書)가 되어서는 왕세자의 성학(聖學)의 발전과 임금이 솔선수범하여 학문적 교훈을 실천해야 한다고 상소하였다.

1712년(숙종 38)에는 지평으로서 같은 소론인 이돈(李墩)이 조태채(趙泰采)의 일로 억울함을 당했다고 논하다가 도리어 노론의 미움을 사 먼 곳으로 유배되었다. 1717년(숙종 43) 스승인 윤증(尹拯) 부자의 신원(伸寃)을 1만 여 마디나 되는 장문으로 상소했다가, 금령을 어겼다 하여 강진현(康津縣) 고금도(古今島)에 다시 유배되었다.

이 때 올린 소의 내용은 노론이 주장하는 것과는 달리, 윤증이 송시열(宋時烈)과 교분을 끊은 것은 “편지 끝에 그의 아버지인 선거(宣擧)를 욕한 것 때문이지 제문(祭文)으로 말미암은 것이 아니다.”라고 하고 송시열을 낱낱이 헐뜯어서 노론측의 강한 반발을 샀던 것이다.

그 뒤 1722년(경종 2)에 다시 상소하기를, 윤증 부자의 죄상을 아무런 근거도 없이 날조하여 위판(位版: 神位를 모시는 位牌)을 철훼하고 끝내 추삭하여, 소장(疏章)은 물론 중외의 소송도 막아 죽은 뒤에도 혹독한 무고의 혐의를 받고 있다고 하였다.

이 같은 상소가 있고 난 뒤 노론 정세 하에서 아들 이구응(李龜應)은 특별히 녹용(錄用)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손자 이재신(李在臣)은 섭기주(攝記注)에 수망(首望: 제1위의 후보자)되었으면서도 사문난적(斯文亂賊)의 후손이라 하여 배척당하였다. 관작에 나간 뒤에 문학·정언·지평·직장·수찬·검상·사간·집의·교리·보덕 등의 청직(淸職)을 역임하였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경종실록(景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순조실록(純祖實錄)』
『철종실록(哲宗實錄)』
『당의통략(黨議通略)』
『국조방목(國朝榜目)』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