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목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찬경위 및 간행연대를 알 수 없다. 권1에 시 46수, 서(書) 19편, 잡저 4편, 고사(告辭) 2편, 제문 5편, 애사 1편, 행록 4편, 권2에 가전 2편, 부록으로 유사·가장·묘갈명 각 1편, 만사 15편, 제문 7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서(書)의 「여병산회중(與屛山會中)」은 스승인 이현일이 갑술옥사후 유배, 방축(放逐)되었는데, 그의 신원(伸寃)을 요구하는 상소를 하면서 유성룡(柳成龍)계열의 모임인 병산회에서도 이에 동조하기를 바란다는 통문이다.
「답이우서원개(答李禹瑞元凱)」·「답송학서원유생(答松鶴書院儒生)」·「여진백(與振伯)」 등은 예(禮)에 대한 문답으로, 상제례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잡저 중 「서추원록후(書追遠錄後)」는 저자가 여러 선대의 행록·명갈(銘碣)·만뇌(挽誄) 등 여러 편을 모아 편집하여 『추원록』 2책을 만들었다는 내용이다.
『가세고사(家世故事)』는 선대 의성김씨 인물들의 고사를 발췌한 것이다. 「금수기문(錦水記聞)」은 무극(無極)과 태극(太極)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적은 변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