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수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지방의 서반아전.
이칭
이칭
일수양반
목차
정의
조선시대 지방의 서반아전.
내용

지방의 각 관아나 역에서 잡무에 종사하던 자로 일수양반(日守兩班)이라고도 하였다. 이들은 관일수(官日守)와 역일수(驛日守)로 구분되었는데 각 관과 역의 대소에 따라 그 정액이 고정되어 있었다.

『경국대전』 병전 외아전조에 의하면, ‘부(府)에 44인, 대도호부에 40인, 목에 40인, 도호부에 36인, 군에 32인, 현에 28인’이라 하여 전국 330여 개에 달하는 지방관아에 총 1만여 인의 관일수가 배치되어 있었으며, 역시『경국대전』에 의하면 ‘대로에 20인, 중로에 15인, 소로에 10인’이라 하여 전국 540여개를 상회하는 각 역참에는 약 6,000여 인의 역일수가 배치되어 있었다.

이들은 대체로 양인신분으로 충당되었는데 그 수가 부족한 경우에는 관이나 역 근처에 거주하는 한역인(閑役人)이나 향리 등으로도 충원되었다. 이들은 지방관아와 역에서 많은 잡무에 종사하였던 만큼 그 입역 실태는 고역이었다.

이들이 부담하였던 역의 형태는 지방관아의 영조(營造)와 영선, 수령 및 국내외 사객의 접대와 영송, 국둔전·관둔전·제역전 등의 경작, 답험손실 및 향역의 보조업무 수행 등 다양하였다. 이들의 역은 조선 후기로 갈수록 더욱 고역화되어 가장 대표적인 천역인 칠반천역(七班賤役)의 하나가 되었다.

참고문헌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경국대전(經國大典)』
『반계수록(磻溪隨錄)』
「조선초기(朝鮮初期)의 일수(日守)」(한희숙, 『진단학보』 65, 1988)
「조선전기(朝鮮前期) 역리(驛吏)에 대한 일고」(조병로, 『남도영박사화갑기념사학논총』, 태학사, 1985)
집필자
조병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