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 ()

목차
고대사
제도
신라 중고기의 전문기술관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신라 중고기의 전문기술관직.
개설

제방의 축조 등 토목공사를 관장했던 책임자이다. <영천청제비병진명 永川菁堤碑丙辰銘>(법흥왕 23, 536)에 의하면 “將上三 將作人七千人 △二百八十方(장상 3명, 장작인 7천명, ○280방)”이라고 하였다.

여기에서 장상의 의미는 ‘장작인을 거느리고 작업하는 우두머리’란 뜻으로 풀이할 수 있다.

내용

‘장작(將作)’이란 이름은 본래 중국 진(秦) 이래로 토목공사를 맡은 관부이름이었다.

신라에서도 법흥왕 23년에 ‘장작’이란 이름을 사용하였다. 더욱이 장작인 7000명은 1개조 25명씩 280개조로 편성되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기도 하는데, 만일 그렇다면 6세기 전반에 신라에는 이미 일반 역부와 장인들을 징발할 수 있는 매우 정비된 체계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체계가 어떤 관사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장작’의 명칭이나 일련의 노동력 동원체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아, 중국과의 교류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아 이러한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을 것 같다.

이 시기 중국 양나라에는 장작대장경(將作大匠卿)의 이름이 보편화되어 있었는데, 「영천청제비병진명」의 ‘장작(將作)’이나 ‘장상(將上)’의 명칭은 바로 이러한 관련에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참고문헌

『대당육전(大唐六典)』
『신라수공업사(新羅手工業史)』(박남수, 신서원, 1996)
「영천청제비병진명(永川菁堤碑丙辰銘)에 대한 재검토(再檢討)」(오성, 『역사학보(歷史學報)』 79, 1978)
「영천청제비(永川菁堤碑)의 병진축제기(丙辰築堤記)」(이기백, 『고고미술(考古美術)』 106·107, 197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