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난종 ()

목차
관련 정보
을유자
을유자
서예
인물
조선전기 우참찬, 공조판서, 호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서예가.
이칭
국형(國馨)
허백당(虛白堂)
시호
익혜(翼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33년(세종 15)
사망 연도
1489년(성종 20)
본관
동래(東萊)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전기 우참찬, 공조판서, 호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서예가.
개설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국형(國馨), 호는 허백당(虛白堂). 진주목사 사(賜)의 아들이다.

생애

1456년 생원 · 진사시와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를 거쳐 검열 · 대교 · 통례문봉례랑(通禮門奉禮郎) · 이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1463년 시강원문학을 거쳐 예조정랑 · 종부시소윤(宗簿寺少尹)을 지내고, 1466년 문과중시에 급제하여 동부승지가 되었다. 이어좌부승지 · 예조참판을 지낸 뒤 형조참판으로 오위장을 겸하였다. 1467년 황해도관찰사로 이시애(李施愛)의 난 평정에 공을 세우고 이듬해 호조참판에 전임되었다. 1469년 동지춘추관사로 『세조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1470년 동지중추부사로서 사은부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뒤 1471년 순성좌리공신(純誠佐理功臣)에 올라 동래군(東萊君)에 봉하여졌고, 『예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그 뒤 영안도관찰사 · 호조참판 · 한성부판윤 · 전라도관찰사를 지냈다. 1483년 주문부사(奏聞副使)로 다시 명나라에 다녀온 뒤 평안도병마절도사 · 우참찬 · 이조판서 · 공조판서 · 호조판서를 역임하였다.

활동사항

정난종은 훈구파의 중진으로 성리학에 밝았고, 서예에도 일가를 이루어 특히 조맹부체(趙孟頫體)에 뛰어났다. 성임(成任)과 함께 세조 · 성종 대의 일류 서예가로, 1465년(세조 11, 乙酉)에 『원각경(圓覺經)』을 인쇄하기 위하여 그에게 주자체(鑄字體)를 쓰도록 하였는데, 이 활자가 을유자(乙酉字)이다.

성현(成俔)은 『용재총화』에서 “정난종이 쓴 창덕궁 전문(殿門)들의 액(額)은 자체가 바르지 않다.”, “『원각경』의 자체가 고르지 않다.”고 혹평하기도 하였다. 금석문에도 그의 필적이 적지 않다. 석문으로 서울파고다공원의 「원각사비음(圓覺寺碑陰)」, 양주의 「고령부원군신숙주묘표(高靈府院君申叔舟墓表)」 · 「윤자운신도비(尹子雲神道碑)」 · 「윤자운묘표」, 연산(連山)의 「김철산비(金鐵山碑)」가 있다.

또 금문으로 양양의 「낙산사종명(洛山寺鐘銘)」, 고성의 「유점사종명(楡岾寺鐘銘)」, 양주의 「봉선사종명(奉先寺鐘銘)」, 덕수궁의 「흥천사종명(興天寺鐘銘)」이 있다. 진적은 보기 어려우며, 『동국명필(東國名筆)』 · 『해동명적(海東名跡)』 · 『대동서법(大東書法)』 등에 그의 글씨가 모각되어 있다. 시호는 익혜(翼惠)이다.

참고문헌

『성종실록(成宗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해동금석원(海東金石苑)』 권(卷)5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하(下)
『한국고인쇄문화사(韓國古印刷文化史)』(김두종, 삼성미술문화재단, 1980)
『한국금석유문(韓國金石遺文)』(황수영, 일지사, 1976)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