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번수포법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 후기 양역변통(良役變通)을 규정한 제도.
목차
정의
조선 후기 양역변통(良役變通)을 규정한 제도.
내용

조선시대 군역(軍役) 보포화(保布化) 과정은 이미 중종 이전부터 시작되어, 신역(身役) 대신 포(布)를 받는 것이 보편화되어갔다.

그러나 후기에 들어오면서 양역인구의 면역·투속(投屬)·가탁(假託)이 날로 증가하여 군포의 국고수입이 날로 줄어들자, 국가에서는 양정(良丁) 파악을 철저히 하여 정해진 군액(軍額)의 확보에 노력하였다.

또한, 각종 전염병, 흉년, 군량의 부족 등을 이유로 상번군(上番軍)을 정번(停番)시키고 그 대신 포를 상납하게 하여 재정궁핍을 막아보고자 하였는데, 이를 정번수포법이라고 한다.

그 확실한 시행시기는 밝혀져 있지 않으나, 군비감축으로 재정의 안정을 유지하려고 한 현종 초기로 볼 수 있으며, 1662년(현종 3)의 농기정번(農期停番)을 최초라고 볼 수 있다. 그뒤에도 계속 양역변통에 대한 노력이 있었다.

참고문헌

『효종실록(孝宗實錄)』
『현종실록(顯宗實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만기요람(萬機要覽)』
『한국사(韓國史)-근세후기편(近世後期篇)-』(진단학회, 을유문화사, 1965)
집필자
박정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