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암집 ()

목차
관련 정보
조암집(권2) / 감찰시진소회소
조암집(권2) / 감찰시진소회소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조창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13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조창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1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3책. 목판본. 1713년(숙종 39) 조카 정례(正禮)가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정례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109수, 권2에 기(記)·서(書)·주의(奏議)·소(疏) 각 1편, 권3에 소 8편, 전(箋) 3편, 책(策) 1편, 권4에 부록으로 제문 6편, 유사 10편, 행장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에는 「감찰시진소회소(監察時陳所懷疏)」와, 지평 또는 사간 등을 사직하면서 올린 소회소 등 1만자가 넘는 장편 대작의 상소문이 여러 편 있다. 「감찰시진소회소」는 현종에게 시무를 건의한 글로 1만8000여 자에 달한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임금이 우선 자기수양을 쌓을 것, 백성을 아낄 것, 재용을 절감할 것, 인재를 등용할 것, 모든 폐정(弊政)을 혁파할 것 등 15조로 나누어 논하였다. 특히, 재용절감과 민생문제의 현안에 있어서는 탁상공론이 아닌 시의에 맞는 말들을 조리정연하게 적고 있다.

공부(貢賦)의 색목(色目) 다수가 연산군 때 무분별하게 책정된 것이기 때문에 당장 필요한 것 외에는 당연히 혁파되어야 하고, 군정(軍政)에 있어서도 상번제도(上番制度) 대신 보포(保布)를 받는 것이 백성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으며, 김육(金堉)이 양호(兩湖)에 실시한 대동법(大同法)은 얼핏 보아서는 민폐가 적은 것 같으나 사실은 그 당시의 정책이 양입위출(量入爲出)이 아닌 양출위입(量出爲入)이었으므로 1결(結)이 전세(田稅)로 하면 4두(斗)이던 것이 대동미로 하니 12두가 넘는다는 내용 등이 언급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