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은문집 ()

졸은문집
졸은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한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영조 연간 무렵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한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영조 연간 무렵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이한보의 아들 이덕주(李德胄)가 편집·간행한 것으로, 서문과 발문이 실려 있지 않아 정확한 간행 연도는 알 수 없으나 대략 영조 연간으로 추측된다.

서지적 사항

8권 4책. 목활자본. 규장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에 부(賦) 3편, 시 68수, 권2에 서(序) 2편, 기(記)·잠(箴) 등 잡문 32편, 권3에 답입종시문목(答立宗時問目)·귀래헌화고묘사(歸來軒火告廟詞)·서묘(鼠猫)·졸와기(拙窩記) 등 13편, 권4에 유시삼자(遺示三子)·유계(留誡)·졸명(拙銘)·개장절목(改葬節目) 등 22편, 권5에 서율곡별표숙서후(書栗谷別表叔序後)·만록잉설(漫錄剩說)·사칠문답(四七問答) 등 6편, 권6에 조고행장(祖考行狀) 등 가계의 행장 9편, 권7에 심의통편서(深衣通編序)·의의도(擬衣圖)·통편부록발(通編附錄跋) 등 6편, 권8에 저존록(著存錄)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3∼5는 잡저로 서(序)·발(跋)·기(記)·설(說)·서(書)·명(銘)·지(誌)·제문·상량문 등이 잡다하게 섞여 있다.

시에는 「유남대(遊南臺)」·「차한문공석고가(次韓文公石鼓歌)」·「증수락산인제인(贈水落山人濟仁)」 등이 있고, 잡문에는 「잡록서(雜錄序)」·「만기(漫記)」·「자경잠(自警箴)」·「자단우언(紫檀寓言)」·「대시환법(代蓍丸法)」·「간서명훈(簡書明訓)」·「견묘고사(見廟告詞)」·「방례(邦禮)」·「과거(科擧)」·「묘제(墓祭)」·「제보첩소발후(題譜牒疏跋後)」·「상명(狀銘)」·「입종(立宗)」 등이 있다. 이 가운데 「간서명훈」은 저자의 맏아들이 처음으로 수학(受學)하자 훈사(訓辭)를 지어 종이에 써 준 글이다.

잡저 가운데 「답입종시문목」은 재종제 이순보(李順甫)가 입종시의 여러 절목을 질문한 데 대한 답변서이다. 「만록잉설」은 사단칠정에 대한 논술로, 저자는 이기설(理氣說)에 있어서 이황(李滉)의 설을 적극 취하고 이이(李珥)의 설을 취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사칠문답」 역시 이기설로, 문답 형식을 취해 자기가 이황의 설을 취하는 이유를 논술한 것이다.

권3·4의 잡저는 상제례(喪祭禮)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다. 권7은 주로 심의에 관한 기록으로 복제 연구에 좋은 자료이다. 「저존록」은 『예기』의 “치애즉존, 치각즉저(致愛則存, 致慤則著)”라는 문구를 취해 이름을 붙인 것이다. 부모와 조상에 사랑과 정성을 극진히 한다는 뜻이다. 이 글에는 사당을 세우고 제사를 받드는 제의까지 10여 가지 절차를 자세하게 기록하고 있어, 당시의 예제(禮制)를 살펴보는 데 도움이 된다.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