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2책. 석인본. 1938년 아들 영갑(永甲)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병식(金秉植)의 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39수, 만사 37수, 권2에 서(書) 60편, 권3에 상량문 2편, 고유문 2편, 제문 19편, 잡저 4편, 권4에 부록으로 만사·뇌문(誄文)·제문·행장·묘갈명·묘지명·명장후지(銘狀後誌)·유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는 대부분 시사(時事)와 안부에 관한 것이다. 잡저 중 「산동문접완의(山洞門接完議)」는 산동서당에서 생도들을 교육하는 데 필요한 조항을 의논하여 정한 것이고, 「사주계용계양서당훈장단자(辭周溪龍溪兩書堂訓長單子)」는 주계서당과 용계서당에서 훈장으로 취임하여줄 것을 요구한 데 대하여, 학문과 행의가 남을 가르칠 만큼은 성숙되지 않았다고 사양하는 내용이다.
이밖에 구봉령(具鳳齡)을 제향한 묘우를 이건하여 봉안하면서 쓴 「백담선생묘우이건시고유문(栢潭先生廟宇移建時告由文)」과, 1881년(고종 18) 위정척사(衛正斥邪)의 상소문을 올리는 데 소수로 지명된 것을 사양하는 내용의 「사소수단자(辭疏首單子)」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