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강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조시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조시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875년(고종 12) 6대손 병철(秉轍)·병시(秉時)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돈우(李敦禹)의 서문이, 권말에 병시의 후지(後識)가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149수, 권2에 서(書) 26편, 권3에 서(序) 4편, 기(記) 4편, 상량문 1편, 축문 4편, 제문 10편, 행록·묘지·행장 각 1편, 봉선의식(奉先儀式) 18측(則), 정계(庭戒) 24측, 잡저 4편, 권4에 부록으로 행장·묘갈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는 주로 스승 이재(李栽)에게 올린 것인데, 별지(別紙)와 문목(問目)으로 일반적인 경전 및 주서(朱書)와 제의(祭儀)에 관한 의문점을 묻는 내용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첨정권공양세행록(僉正權公兩世行錄)」은 병자호란 때 중군장(中軍將)으로 쌍령전투(雙嶺戰鬪)에서 전사한 권극상(權克常)과 그 아들 감(鑑)의 행적을 기린 것이다 .「봉선의식」은 한양조씨(漢陽趙氏)의 제례를 정리한 것으로, 기제(忌祭)·사시제(四時祭)에서부터 진설(陳設)에 이르기까지 조항별로 설명을 가하였다.

「정계」는 효부모(孝父母)·우형제(友兄弟)·신언어(愼言語)·숭예의(崇禮義) 등 24개 항목으로 후손들을 훈계한 글이다. 잡저에는 선조 조인벽(趙仁璧)의 사적이 실려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