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천집 ()

목차
관련 정보
지천집
지천집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최명길의 시 · 소차 · 잡저 · 계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최명길의 시 · 소차 · 잡저 · 계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19권 8책과 19권 6책의 목판본 2종이 있으며, 간행 연대는 미상이다. 책머리에 박세당(朴世堂)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6에 시, 권7∼14에 소차(疏箚), 권15∼17에 계사(啓辭)와 잡저, 권18·19에 행장과 비지(碑誌)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대부분 자연에 대한 찬미와 교우들과의 우의를 읊은 것이 많다. 소와 차는 대부분 대동법(大同法)·호패법(號牌法) 등 제도의 시행과 병자호란 당시의 국난에 대한 대처 방안 등 국정 전반에 걸친 건의 사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소와 차에 중요한 내용이 많다.

이조판서로 재직할 때 올린 「천삼신소(薦三臣疏)」에서는 김진국(金盡國)·김시양(金時讓)·장유(張維) 등 3인을 천거하면서, 인재가 부족해 국가의 위태로움을 극복하지 못하였음을 지적하고, 인재의 등용에 힘써 국난에 대비할 것을 진언하였다. 그리고 위급할 때에는 상중에는 벼슬하지 않는다는 관행에도 반드시 구애받을 필요가 없음을 주장하였다.

「논속환차(論贖還箚)」에서는 당시 호란의 와중에 청나라에 끌려간 포로들의 송환 문제를 언급하면서, 속환 비용을 빈부귀천을 막론하고 100냥 이내로 제한하고, 속환 비용의 상승으로 인해 가난한 이들이 돌아오지 못하는 일을 방지할 것을 진언하였다. 이는 애민정신과 실용주의적인 경세가로서의 그의 면모를 보여 주고 있다.

병자호란의 위기를 맞아 올린 「병자봉사(丙子封事)」에서는 이민족의 침입에 의한 국가의 위기를 모면하는 방법에 대해 외환을 내치(內治)로 대비할 것을 진언하였다. 즉, 청군이 의리를 저버리고 침입하였으나 혈기를 앞세워 대항하는 일이 급한 것이 아니라, 인재를 발탁해 쓰고 정치를 개혁하여 국세를 굳게 다지는 것이 어려움을 이기는 길이라 주장하고 있다.

두 번째 「병자봉사」에서는 주화론(主和論)을 전개하며 청나라와 맞서 싸울 것을 주장하는 척화론(斥和論)에 반대하고, 사직과 백성을 보호하고 뒷날을 도모하기 위해 적과 화친할 것을 주장하였다. 즉, 척화로 나라가 짓밟히고 죄 없는 백성이 죽어 가는 것보다는 주화로 그들을 달래어 사직을 보존하며 민생을 살리고, 나아가 평안도에 본부를 설치해 항상 적의 동정을 살피고 임전무퇴의 정신을 진작시켜 뒷날에 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이에 부연하여 세 번째 「병자봉사」에서도 주화의 입장에서 어쩔 수 없었던 당시의 상황을 자세히 기술하고 있다. 사직의 존망과 신하로서의 절의에 대한 자신의 소신을 피력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저자의 정치사상과 주화파·척화파의 논쟁 및 병자·정묘 양대 호란 당시의 국내외 상황을 소상하게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호란 당시의 국제 정세와 조선 정부의 대처 방식을 밝히는 데 귀중한 자료이며, 나아가 인조 시대 정치사 연구에 대해서도 많은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實錄)』
『인물고(人物考)』
『약천집(藥泉集)』
『서계집(西溪集)』
관련 미디어 (5)
집필자
금장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