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무(佾舞)는 무무(武舞)가 추어지고 헌가(軒架)에서 음악을 아뢴다.
세종 때 회례악(會禮樂)으로 창제된 정대업지악의 제4변인 「휴명(休命)」에서 가락의 일부를 차용하여 그 음악으로 삼고, 노래말은 역시 세종 때 창제된 「휴명」 다음 곡인 「순응(順應)」의 4언 12구의 한시를 4언 8구로 줄여 세조 때 ‘총유’라 이름하고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된 곡이다.
태조의 무공을 노래한 것으로 곡명은 노래말 중 해아총유(徯我寵綏)에서 온 것이다.
현재 불리고 있는 노래말의 원문과 우리말 번역은 다음과 같다.(정의의 군기가 돌아옴이여 천명을 순종함에 천조가 많으시도다. 하늘이 주신 경복이 진동하나니 남녀들 즐거움에 넘치었도다. 우리 님의 사랑과 평화를 기대하면서 단지의 음식으로써 맞이하였도다. 이제는 더러움과 죄악을 씻어 없앴으니 동해의 우리나라 길이 맑으리 義旗載回 順乃多助 天休震動 士女悅豫 徯我寵綏 壺漿用迎 旣滌穢惡 東海永淸).
원래의 남려궁계면조(南呂宮界面調)에서 황종궁계면조(黃鐘宮界面調)로 바뀐 5음 음계의 곡이다. 원래의 「휴명」과 「순응」에서는 박이 노래말 매구에 해당되는 정간보(井間譜) 반행(半行)에 한 번씩 들어가고, 장구형은 크게 박 넷이 하나로 이루어진 규칙적인 것이었으나, 현행의 것은 이 둘 모두가 불규칙적이다. 종지형은 하일(下一)에서 하오(下五)에 이르는 하행종지형이다.
『세조실록』악보와 『대악후보(大樂後譜)』 · 『속악원보(俗樂源譜)』 · 『시용무보(時用舞譜)』 등에 악보로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