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측록 ()

목차
관련 정보
추측록
추측록
유교
문헌
조선후기 실학자 최한기가 사고로 추리하여 만유의 진리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 1836년에 저술한 유학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실학자 최한기가 사고로 추리하여 만유의 진리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 1836년에 저술한 유학서.
내용

6권 3책. 필사본. 34세 때인 1836년에 기(氣)의 작용을 밝히고자 지었다. 저자가 기의 본질을 논하여 이 책과 서로 표리관계를 이루는 『신기통(神氣通)』과 합하여 『기측체의(氣測體義)』라고 하였는데, 뒤에 중국 북경에서 간행되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책머리에 저자의 서문이 있다. 권1에 「추측제강(推測提綱)」 83조, 권2에 「추기측리(推氣測理)」 59조, 권3에 「추정측성(推情測性)」 23조, 권4에 「추동측정(推動測靜)」 30조, 권5에 「추기측인(推己測人)」 71조, 권6에 「추물측사(推物測事)」 95조가 수록되어 있다. 각 조에는 원문을 쓰고 한 자를 낮추어서 그것을 해설하는 식으로 서술하였다.

서문에서 추측이라는 용어의 의미에 대하여, 인간이 하늘에서 받아 이루어가는 것이 성(性)이며, 이 성에 따라 익히는 것이 추(推)가 되고, 이 추로써 의당하게 헤아릴 때 측(測)으로 되는데, 추측(推測)하는 문(門)은 예전부터 모든 사람이 함께 가는 대도(大道)라고 정의하였다.

추측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기를 미루어서 이(理)를 헤아리고, 정(情)을 미루어서 성(性)을 헤아리며, 동(動)을 미루어서 정(靜)을 헤아리며, 자기를 미루어서 남을 헤아리고, 사물을 미루어서 사(事)를 헤아려야 한다는 논지에서 전체의 내용을 서술하였다. 기일원론적 처지에서 경험론적 인식론을 펼친 책으로서, 조선 후기 사상사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정선남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